-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인간발달학회
- 저자명
- 조은주 정윤경
- 간행물 정보
- 『인간발달연구』제21권 제4호, 129~14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동의 의도적 통제와 공감,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지역의 초등학생 5, 6학년 342명(남자 172명, 여자 170명)을 대상으
로 자기보고식 질문지법을 이용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검증, Cronbach의 α
계수,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의도적 통제는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공감과 친사회적
행동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였다. 둘째, 아동의 의도적 통제와 공감, 친사회적 행동
간에는 높은 관련성이 나타났다. 의도적 통제와 공감 수준이 높을수록 친사회적 행동 수준
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의도적 통제와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를 공감이 완전매개 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공감이 의도적 통제에 영향을 받는 변인임을 검증함으로써
의도적 통제와 공감을 통해 친사회적 행동이 발달할 수 있다는 간접 발달 경로의 가능성을
제안하고 있다. 이는 친사회적 행동을 하는데 있어 의도적 통제가 타인 지향적 공감을 증진
시키는 중요한 개인 내적 요인으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아기 공동주의 반응하기와 아동초기 만족지연 간 종단적 관련성
- 대학생의 학업 및 진로 스트레스, 수용행동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모형 검증
- 청소년이 지각한 어머니 양육행동에 따른 군(群)과 청소년의 적응 -정서조절방식과 탄력성을 중심으로-
- 아동의 의도적 통제와 공감능력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남북한 가족가치관의 비교고찰
- 임신 후반기 여성의 마음챙김이 심리적 불편감에 미치는 영향 : 낭만애착의 매개효과 검증
-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에서의 상호작용효과 검증 : 이론과 절차
- 아동의 기질과 또래 상호작용 간의 관계 : 모의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