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담자의 태도와 화엄경의 보살정신
이용수 45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 저자명
- 안형관 전영숙
- 간행물 정보
- 『동서정신과학』제2권 제1호, 1~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9.01.0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반화되고 정형화되어 있는 상담심리학에서의 상담자의 태도를 불교적 관점에서 조명해 보고 『화엄경』의 보살사상을 중심으로 이상적인 상담자의 태도를 찾고자 하였다. 특히 보살의 서원과 십바라밀을 통해 상담자가 배우고 느껴야할 것은 무엇인지를 고찰해 보았다.
서양의 문화적 토양에서 인간을 과학적으로 탐구해온 상담심리학은 철학적 인간학, 특히 넓은 의미에서 철학적 인간학이라고도 할 수 있는 동양의 불교사상과의 만남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참으로 우리의 심성에 크게 영향을 미쳐왔고 또 우리 심성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기도 한 불교정신을 서양의 상담심리학에 도입함으로써, 지금 여기 우리의 땅에서 진정한 만남을 구현해낼 수 있는 보다 훌륭한 상담자가 되는 길이 무엇인지를 찾고자 한다. 이 논의의 문제의식과 의도는 바로 여기에 있다. 인류 최대의 걸작 중의 하나인 『화엄경』은 보살이 자리(自利)와 이타(利他)의 행을 실천하여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는 보살도를 그리고 있다. 그 단계는 52위로 표현되고 있으며 보살이 실천해야 할 보살행은 다시 십바라밀로 요약할 수 있다. 이 십바라밀은 보살이 깨달음을 향해 수행하는 과정에서 실천해야 할 덕목이다. 보살은 좀 더 나은 삶을 살아가고자 하는 사람들의 이상적인 인간상이자상담자가 추구해야 할 목표이기도 하다. 상담자가 보살정신을 가지고 십바라밀을 실천해 나간다면 상담자 자신은 깨달음을 향해 나아가게 되는 것은 물론 내담자에게 고통에서 벗어나는 길을 제시할 수 있게 되리라고 본다.
영문 초록
목차
머리말
맺는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