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현행원품 번역을 위한 방향제시
이용수 7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 저자명
- 조현춘
- 간행물 정보
- 『동서정신과학』제2권 제1호, 26~41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9.01.0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자는 동양의 정신을 서양의 과학적 방법에 접목시키는 과정에서 금강경을 출간하였다. 금강경은 동양 정신의 핵심인 동시에 불교의 핵심이며, 보현행원품은 동양 정신의 결론이며 불교의 결론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보현행원품 번역에 근원적인 문제가 있음을 제기하고 대안을 제시하였으며, 또 기존 번역에서의 몇 가지 구체적 문제점도 지적하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기존 번역에서는 다섯째 행원인 수희공덕(隨喜功德)에 대해서 ‘공덕을 따라 기뻐함’이라고 번역하였고, 여덟째 행원인 상수불학(常隋佛學)을 부처님을 따라 배움으로 번역하였는데 본 연구에서 ‘공덕 행동을 기쁜 마음으로 따라 행함’으로, ‘부처님의 법을 전함’으로 번역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학자는 수행(修行)이 부족하여 경전을 번역할 수 없고, 스님은 현대어를 잘 알지 못하여 경전을 현대어로 번역할 수 없음을 지적하여 경전 현대화의 난관도 지적하였다. 더불어 이 난관을 해결하기 위해 학자가 일차 번역을 하고, 스님이 교정을 본 후, 조계종 등 종단 차원의 검증을 거쳐서 ‘공식 경전’으로 확정함으로써 일반인이나 일반 신도들이 현대어로 된 경전을 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도 곁들여 있다.
영문 초록
목차
1.서
2.문제제기
3.구체적 문제와 문제의 해결
4.맺음 및 기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