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사회 일과 여가의 변동 추이
이용수 197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여가문화학회
- 저자명
- 최석호 천혜정
- 간행물 정보
- 『여가학연구』제10권 제3호, 77~10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2.28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사회 일과 여가에서 나타난 변동의 전반적인 경향을 추적하고, 특
히 1997년 외환위기와 2008년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나타난 일과 여가의 변동 양
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이론적인 측면에서는 탈산업사회론과 신소비자이론
중에서 일과 여가의 변동에 대한 설명력이 보다 높은 이론이 무엇인지를 구획하
고자 한다. 한국사회가 경제성장을 시작한 196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하던
노동시간은 1980년대 초를 고비로 줄어들기 시작하였으나 IMF 관리체제하에 들
어가면서 노동시간이 다시 증가하고 실업률이 높아졌으며 비정규직 노동자의 수
가 급증하면서 노동시장의 불안정성이 확대되었다. 또한 교육수준별 임금격차의
확대로 소득불평등이 급속도로 심화되었고 그 결과 여가활동에 필요한 돈과 시간
의 균형이 상실됨으로써 여가의 양극화 현상이 나타났다. 따라서 노동시간의 감
소와 여가시간의 증가 등을 주장한 탈산업사회론보다는 시간의 희소성 증가를 주
장한 약탈당한 여가계급론이 한국사회 일과 여가의 변동 양상을 더 잘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경제위기 이외의 시점에서는 일과 여가에서 특별한
경향성은 존재하지 않았다.
영문 초록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논의
III. 연구방법
IV. 한국사회 일과 여가의 변동 추이
V.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