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편애니메이션 산업에서 2D에서 3D로의 산업변화에 대해 파괴적 혁신이론을 통한 이해
이용수 144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여가문화학회
- 저자명
- 김형일 유승호
- 간행물 정보
- 『여가학연구』제5권 제3호, 7~3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2.28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재 장편 애니메이션 산업에 관한 연구이다. 1995년 <토이 스토리>가 개봉된 이후에 장편 극장 애니메이션 산업은 디즈니 중심의 2D 애니메이션에서 픽사, 드림웍스, 폭스사 중심의 3D 애니메이션으로 급속히 변화되었다. 문화콘텐츠인 애니메이션 산업 변동은 크게 아날로그에서 디지털의 환경 변화에 따른 것이면서 나아가 영상물에 대한 인간의 취미의 변화를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장편 애니메이션 산업변화가 어떻게 일어났는지를 경영의 혁신 이론 중 최근에 대두된 클레이튼 크리스텐슨(Clayton M. Christensen)의 파괴적 혁신이론(disruptive innovation)을 통해 고찰함으로써 문화콘텐츠에서 혁신이 어떻게 작용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필자의 논의가 경험의 성격이 강한 문화콘텐츠상품의 시장을 이해하고, 또 문화콘텐츠에서 새로운 시장을 창출 하는데 보다 많은 이해를 제공할 수 있길 바란다.
영문 초록
목차
I. 서 론
II. 본 론
Ⅲ.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