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가생활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가? : 대학생의 여가생활유형과 생활만족도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이용수 364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여가문화학회
- 저자명
- 이누미야 요시유키 김정운
- 간행물 정보
- 『여가학연구』제1권 제1호, 41~5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1.0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여가생활과 삶의 질의 관련성에 대해 검토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는 대학생 622명을 대상으로 대학생들이 주로 하는 여가활동의 종류 주된 여가활동의 조합을 기존으로 추출되는 여가생활 유형들, 여가생활 유형에 따른 삶의 질(생활만족도와 주관적 안녕감) 수준의 차이, 여가시간과 삶의 질의 관계에 대한 여가생활 유형의 조절효과 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사살이 밝혀졌다. 첫째, 대학생들이 주로 하는 여가활동은 1위 컴퓨터(웹 서핑, 게임 포함;71.0%), 2위 독서(만화 포함; 34.5%), 3위 TV 시청(29.0%), 4위 음악 감상(28.8%), 5위 운동(28.7%)의 순서로 나타났다. 둘째, 위의 5가지 여가활동의 선호 여부를 기준으로 군집분석(cluster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여가생활 유형은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여가생활 유형에 따라 삶의 질(생활만족도와 주관적 안녕)의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넷째, 여가생활 유형에 따라 여가시간과 삶의 질의 관계는 다르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1.서론
2.방법
3.결과
4.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