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의 단순 연산 정확도 및 유창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303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학습장애학회
- 저자명
- 김애화 정현승 김병룡
- 간행물 정보
- 『학습장애연구』제13권 제3호, 49~6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222명 학생(저학년 60명 그리고 고학년 162명)을 대상으로 학년에 따
른 단순 연산 유창성 발달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저학년(1~2학년) 학생에게는
단순 덧셈과 뺄셈 문항의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초등학교 고학년(3~6학년) 학생에게는 단순
덧셈, 뺄셈, 곱셈 문항의 평가를 실시한 후, 단순 연산 정확도, 단순 연산 유창성, 단순 연산
이 연산 성취도 평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결과 분석을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
(MANOVA) 및 일원변량 분석(ANOVA)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
음과 같다. 첫째, 단순 연산 정확도 결과를 살펴보면, 덧셈과 뺄셈에서 학년 간 유의한 차이
가 나타났으며, 곱셈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단순 연산 유창성 결과를
살펴보면, 덧셈, 뺄셈, 곱셈 모두에서 학년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연산 성취도에
대한 예측변인을 살펴보면, 저학년의 경우 뺄셈 유창성(RTs)이 가장 예측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학년의 경우 곱셈 유창성(RTs)이 가장 예측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