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 許浚≪東醫寶鑑≫의 중국판본 고찰
이용수 91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중국문화학회
- 저자명
- 朴現圭
- 간행물 정보
- 『중국학논총』제43호, 235~26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0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서지학적 입장에서 조선 허준 ≪東醫寶鑑≫의 중국 제판본을 고
찰했다.
≪동의보감≫은 일찍이 중국으로 들어가 여러 차례 출판 유통되어 중국인으로
부터 많은 환영을 받았다. 20세기 중반 이전에 중국에서 전통 방식으로 인출 간행
된 한국인 편저물은 꽤나 있지만, 그 가운데 횟수가 가장 많은 책자가 바로 ≪동의
보감≫이다. 인출 간행본을 세분해보면 목간본 12종, 연인본 1종, 석인본 4종 등 총
17종이 있다. 이밖에 필사본이 4종을 더 있는데, 앞으로 조사에 따라 더 늘어날 것
으로 예상된다.
각종 중국판 가운데 연도가 가장 빠른 것이 건륭 12년(1747)에 王綸抄本이다.
이후 나온 중국본은 크게 두 계통으로 나뉜다. 한 계통은 凌魚서문이 들어간 第八
?藏版(左翰文)本계통이다. 건륭 28년(1763)에 左翰文이 처음 간행된 이래 광서
11년(1885)까지 나온 제반 목판본은 모두 이 계통에 속한다. 다른 한 계통은 일본
에서 도입한 訂正東醫寶鑑계통이다. 광서 15년(1889)에 정정동의보감을 저본으로
삼은 江左書林藏版(朱曜之)本이 출간된 이래 20세기 중반까지 나온 각종 연인본과
석인본은 모두 이 계통에 속한다.
영문 초록
목차
一. 서론
二. 중국 필사본 계통
三. 중국 목판본 계통
四. 중국 연인본?석인본 계통
五. 결론
키워드
≪동의보감≫
허준
조선
중국판본
왕륜초본
좌한문간본
강좌서림장판본(정정동의보감)
≪東醫寶鑑≫
許浚
朝鮮
中國版本
王綸抄本
左翰文刊本
江左書林藏版
本(訂正東醫寶鑑)
Dongui bogam(≪東醫寶鑑≫)
Heo Jun(許浚)
Joseon(朝鮮)
The Published in China
The edition of Wang Lun's manuscript(王綸抄本)
The edition by Zuo Hanwen's possession(左翰文刊本)
The edition in Jiangzuo shulin's possession(江左書林藏版本).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