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북아 혼쥐설화 유형의 비교연구
이용수 102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저자명
- 정재민
- 간행물 정보
- 『구비문학연구』제34집, 365~408쪽, 전체 4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8,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혼쥐설화는 잠자는 사람의 코에서 빠져나온 혼이 겪는 사건들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일
군의 이야기로서, 고대인들의 영혼관은 물론 꿈이나 무의식 세계에 관한 민간신앙 및 원시
적 인식세계를 엿볼 수 있는 자료에 해당한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본고는 먼저 한국 자료
의 전승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동북아 각국의 자료와 비교하여 한국 혼쥐설화 유형
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고찰하고자 했다.
그 결과, 한국 혼쥐설화는 그 유형구조와 등장인물의 성격, 그리고 주제의식 등에 있어
서 일본, 북아시아 여러 민족의 자료와 공질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러한 공질성은
이들 민족들이 혼쥐설화의 근간이 되는 외재혼이나 복수혼 관념을 공유하고 있음을 시사한
다. 이러한 공질성과 함께 한국 혼쥐설화는 다른 민족에 비해 하위유형이 다양하게 발달되
어 있다. 다른 민족에게서 전승되는 꿈유래형과 득금형을 제외한다면, 도둑형이나 상사뱀형
같은 하위유형은 우리 민족만의 특별한 하위유형으로 평가된다. 외재혼의 형태도 다른 민
족은 비행성 곤충이 우세한 반면, 우리는 포복성 동물, 즉 생쥐가 주류를 이룬다. 또한, 등
장인물의 성격도 상당히 대비되는데, 특히 외재혼의 목격자의 경우가 그러하다. 우리 자료
에 등장하는 외재혼의 목격자는 협력자 내지 교정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 비해, 북아시아
에서는 외재혼이 노정을 방해하는 훼방꾼 내지 대립적 경쟁자의 면모를 보인다. 이러한 차
이점들은 결국 주제의식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이며, 그 결과 잘못된 인성이나 습관을 고
쳐야 한다는 사회적 감계의 영역까지 이야기의 주제를 확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우리 자료에서 두드러진 이질적 면모들은, 곧 한국 혼쥐설화의 다양성과 생명
력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만하다. 이는 유사한 부류의 민간신앙과 영혼관념
를 공유하면서도, 우리의 사회적, 문화적 특성을 충분히 반영한 결과이다. 이 과정에서 한
국 혼쥐설화는 외재혼의 행태와 목격자의 역할을 창조적으로 재해석함으로써 한층 흥미로
운 민담의 면모를 갖추게 된 것으로 보인다. 그만큼 우리 민족은 이야기 생성능력에 있어
창조적임을 말해주는 부분이라 할 것이다. 특히, 우리 자료는 생쥐라는 외재혼의 모습, 생
쥐혼이 보여주는 동화적인 행동과 노정, 샤먼적 면모를 띤 협력자로서의 아내의 역할, 감계
적 주제의 수용 등에 있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한국 자료 검토
3. 일본 자료 검토
4. 북아시아 자료 검토
5. 비교분석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설화 <도량 넓은 남편>을 활용한 창작활동의 치유적 가능성
- 구전이야기 ‘다시쓰기(Re-Writing)’를 활용한 자기탐색 글쓰기 교육
- 中國民間敍事与民間故事講述人學術硏討會 綜述 중국 민간서사 및 민담 구연자에 관한 학술대회 결과 평가
- 동북아 혼쥐설화 유형의 비교연구
- 근대초기 재담과 로컬리티의 문제
- 가요 개념의 근대화, 식민화, 혼종화
- 용궁설화에 나타난 증여의 논리와 호혜적 연대의식
- 근대전환기 패설의 변환과 지향
- 「서술산 여신 신화」와 「선도산 여신 신화」의 서사 윤곽과 구비문학적 면모
- 근대 ‘야담가’의 존재와 구연 활동
- 근대 재담집 『소천소지(笑天笑地)』 연구 : ― 등장인물의 관계 양상과 그 특징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공생으로부터 출발하는 공감을 위하여: 들뢰즈의 <이것임>, D.H. 로렌스의 <함께 느낌>, 그리고 <노란봉투 캠페인>
- 신경과학적 공감탐구
- 레비나스에게서 초월 : 하늘의 지혜를 이 땅에서 실현하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