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설화의 ‘짝패(double)’ 인물 연구
이용수 184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저자명
- 이강엽
- 간행물 정보
- 『구비문학연구』제33집, 45~7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설화에서 짝패로 등장하는 두 인물이 벌이는 이야기들을 통해 짝패 인물의 양상과 의미에 대해 살폈다.
첫째, 짝패의 개념을 살피고 설화에서 어떻게 드러날지 개괄했다. 짝패란 본래 둘이 함께 있어야 전체성을 지니게 되어 있는 존재가 둘로 분화하여 나타나서, 궁극적으로는 다시 그 잃어버린 전체성을 추구하는 한 쌍의 인물로, 통상 형제간처럼 불가분의 관계에서 잘 드러난다. <천지왕본풀이>, <오뉘 힘내기>, 현우형제담(賢愚兄弟譚)의 세 작품을 택하는데 이들은 차례로 신화, 전설, 민담에 속하며, 그 대립하는 인물이 쌍둥이, 남매, 형제로 다양하게 드러난다.
둘째, 설화 속 짝패 인물의 양상에 대해 살폈다. <천지왕본풀이>의 ‘대별왕/소별왕’의 짝은 그 근원에서 볼 때 ‘천지왕/수명’의 ‘선/악’ 구도와 ‘천지왕/서수암’의 ‘존귀/미천(尊貴/微賤)’ 구도를 함께 갖는 짝패로 정리될 수 있다. <오뉘 힘내기>는 그 근원에서 천부신과 지모신, 남성성과 여성성의 맞대결 양상을 띠며, 어느 한쪽의 승리가 새로운 질서를 이끌어내기는커녕 도리어 엄청난 파탄을 몰고 온다. 현우형제담(賢愚兄弟譚)의 형제가 보인 두 가지 재능은 상보적이어서, 어느 한쪽이 없으면 나머지 한쪽도 제대로 존립할 수 없는 것으로, 결국 어머니를 되살리는 기적을 이루어낸다.
셋째, 설화에 나타난 짝패 인물의 의미에 대해, 대결의 근원, 과업, 귀결이라는 세 측면에서 살폈다. 그 근원에서 본다면 <천지왕본풀이>가 천부(天父)와 지모(地母)의 꼴을 갖춘 신성혼의 형태라면, 나머지 두 작품은 홀어머니만이 등장하는 결핍된 상황을 보인다. 각 작품의 짝패 인물이 벌이는 과업은 각기 ‘수수께끼 / 꽃 피우기’, ‘서울 다녀오기 / 성 쌓기’, ‘처방전 내기 / 약 구하기’로 각각 남성성과 여성성을 상징하는 내용을 채워진다. 대결의 귀결은 <천지왕본풀이>가 각각의 과업에 따라 제 세상을 차지한다면, <오뉘 힘내기>는 여성성이 승리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머니에 의해 패배하여 죽음을 맞지만, 현우형제담(賢愚兄弟譚)은 여성성이 승리하지만 남성성과의 보완적 관계에 의해 본래의 목적인 치병(治病)을 달성한다.
결론적으로 짝패가 등장하는 설화는 서로 같은 근원에서 출발한 두 인물을 짝패로 배치하여 차별성을 드러냄으로써 역설적으로 그 둘이 한데 어우러진 온전
영문 초록
목차
<논문 개요>
1. 서론
2. ‘짝패’의 개념과 설화
3. 설화 속 짝패 인물의 양상
4. 설화에 나타난 짝패 인물의 의미
5. 마무리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첫날밤에 해산한 아내 용서하기’ 설화에 나타난 덕(德)의 의미와 그 수용 양상
- 결혼 이주 여성의 자아존중감 강화를 위한 <내 복에 산다>형 설화의 문학치료적 의미
- 동고(銅鼓)에 갈무리된 보존과 발전의 서사
- 오키나와(沖繩) 창세 신화의 재편 양상과 신화적 논리
- 이야기판의 전통과 문화론
- 서울진오기굿의 ‘삼성’ 연구
- 전통인형극에 등장하는 중의 형상화 양상과 그 감성 논리
- 한국 오동도와 일본 이나바의 토끼설화의 비교연구
- 악신징치 신화소의 두 유형, 해양형과 내륙형 비교 연구
- <초공본풀이>의 ‘과거시험’의 의미
- 설화의 ‘짝패(double)’ 인물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근대 문학과 목격의 서사 : 이상 「날개」 연구
- 한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현대 사회에서의 재해석 -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 텍스트 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논어(論語)』 연구 동향 분석 - 2000-2023년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 연작의 곽분양 수용 양상과 그 의미
- 강을생본 <허웅애기본풀이>에 나타난 사별 애도 과정과 의미 - 영화 <원더랜드>(2024) 속 모녀 관계와의 비교를 겸하여
- <세경본풀이>의 통사론적 규칙과 서사 의미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