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체험형 통합교육공연에서의 전문예술교육가의 기능과 역할 : 서울문화재단 호기심예술학교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이용수 238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
- 저자명
- 최지영
- 간행물 정보
- 『모드니예술』제3호, 133~14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무용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2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방과후학교를 활용한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방과후학교 보육교실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을 연구, 개발하고 실행함과 동시에, 전문예술교육가(TA: Teaching Artist)* 연극놀이 연구소 놀者 대표
투고일 2010. 11. 14. 1차 심사일 2010. 11. 30. 2차 심사일 2010. 12. 15. 게재확정일 2010. 12. 15.
서울문화재단에서 지향하는 문화예술교육을 실현해 낼 수 있는 전문가의 호칭으로 정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2006년에 시작되었으며, 필자는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연극분야 전문지도교수(MTA: Master for TA)를 역임하였다.
필자의 그동안의 경험상,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한 예술교육, 특히 생계형 맞벌이 자녀들을 비롯한 방과후 교실 어린이들을 위한 교육에서는, 교과과목과의 연계나 연극을 통한 학습이라는 방향과 함께 예술교육을 통해 어린이들의 억눌린 정서를 발산하는 가운데, 자기 자신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공동 작업을 통해서 사회성을 키워나가는 등의 통합성장 쪽에 방향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인식을 갖게 되었다. 곧 어린이들이 예술교육을 통해 자존감을 회복해 가는 것을 경험하면서, 학교 안에서의 교육과는 차별화된 방과후 학교의 목표와 방향을 찾을 수 있게 되었다. 특히 필자가 주목한 것은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이 하나의 사업으로서 독립되어있으면서도 서울창의문화예술교육이라는 큰 그림 안에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었다. 아래의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서울시 전반의 문화 인프라를 확대하는 가운데, 문화예술교육을 이끌어갈 수 있는 연극, 무용, 시각 등의 전문가를 계속 양성하여 이들이 아동, 청소년 프로그램과 다양한 시민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끌어가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와 방향 속에서 필자는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연극분야 전문지도교수로서 전문예술교육가를 양성하였다. 본고에서는 필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전문예술교육가들이 어떠한 성장과정을 거쳤으며, 그 과정 속에서 어떠한 역할과 기능을 하였는가를 정리해 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전문예술교육가로의 성장과정
Ⅲ. 체험형 통합교육 공연에서의 전문 예술교육가의 역할과 기능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에코댄스의 개념
- 연기자 신체표현 훈련을 위한 봉산탈춤의 활용방안 연구
- 스타니슬라브스키 이전의 19세기 러시아 연기 담론 : 카라티긴, 모찰로프,
- 마리보의『논쟁』에 나타난 거울 단계를 통한 성장 교육
- 살풀이춤에 내재된 생태적 의미 고찰
- 초등무용교육에서 브레인댄스의 적용
- 경기12잡가 소춘향가 시김새연구 : 전숙희제를 중심으로
- 예술통합교육․무용이 초등학교 2학년 학생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 고등학교 창작무용 수업연구에 따른 창의적 체험활동 제안
- 다원화 사회 직업창출을 위한 창의적 직업교육의 필요성 : 무용교육 적용 연구
- 초등학교 3학년 무용알기 수업 방법 비교연구 : 학교예술강사파견제 무용 교수학습과정안을 중심으로
- 체험형 통합교육공연에서의 전문예술교육가의 기능과 역할 : 서울문화재단 호기심예술학교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청소년미혼모 사회교육현황 및 Community Dance 적용연구
- 중등 교육 과정 속 영화 교육 연구
- 비상업영화를 통한 영화영상교육의 실천
- 문화에서 무용교육의 위치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무용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무용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