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문학텍스트를 통한 연극의 교육적 활용
이용수 15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
- 저자명
- 성민정
- 간행물 정보
- 『모드니예술』제7호, 25~4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무용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0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오늘날 우리 교육에서 연극의 탁월한 교육적 가치와 효과는 널리 인식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
다. 이와 같은 연극의 탁월한 교육적 가치와 효과에 비하여 연극은 우리 학교교육과정의 측면에
서 활용하지 않은 것 또한 사실이다. 연극은 교육적 활용 측면에서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예술교육이다. 그러나 우리 학교교육과정에서 연극은 국어교과에서 ‘문학’을 가르치기 위한 하나
의 방식으로만 활용하고 있는 안타까운 현실이다. 특히 문학에서의 희곡은 대학입학능력시험을
위한 국어교과의 하위 영역으로 ‘문학’으로서의 위상이 아닌 ‘문학’으로서의 위상으로 간신히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예술교육으로서의 연극은 교육과정에서 배제되거나, 소외되어
소홀히 취급되는 교육과정으로서 영 교육과정(null curriculum)1)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문학에
서의 희곡 역시 영 교육과정의 불명예 위상을 지키고 있는 것이 우리 교육이 직면하고 있는 안
타까운 현실이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문학텍스트에 의한 교육연극 수업의 활용
Ⅲ.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무용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무용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