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적으로 활용 가능한 기초 연기력 심사기준 확립의 필요성
이용수 66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
- 저자명
- 정대용
- 간행물 정보
- 『모드니예술』제7호, 45~5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무용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0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기초연기의 평가는 중학교와 고등학교 그리고 대학의 실기과목평가로, 더 나아가 연기관련 대
학입시, 각종 청소년연극제와 그에 포함된, 또는 독립적인 독백 콘테스트 등에서도 실시되고 있
다. 그러나 심사자의 전문적 판단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연기력 평가는 객관적인 기준의 평가가
되기 어렵고 그에 따른 공정성 및 객관성에 대한 문제가 적지 않게 제기되어 왔다. 아무리 전문
적인 심사자들 일지라도 완전히 일치하는 심사결과를 얻는 경우는 흔치 않다. 즉, 화술이나 감
정표현, 호흡, 발성, 움직임 등 심사자 각자의 연기력 평가의 심사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평가대
상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어렵게 된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연기실기 모의평가
Ⅲ. 기초연기평가 - 화술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무용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무용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