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 그림동화책에 나타난 성 역할 분석
이용수 168
- 영문명
- Analysis of Sex-Role in the Picture Fairy Tale of Early Childhood
- 발행기관
-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조한숙(Cho Han-Sook) 문혁준(Moon Hyuk-Jun)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집』제22권 제1호, 19~3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12.0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study is to analyse the sex-role stereotyping for male and female character in the picture fairy tale, and to supply a fundamental data to help the early childhood have an equal sex-role charact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characters in the picture fairy tales, the most popular gender is neuter and the next one is female, and male in sentences, but male, neuter and female in picture.
Second, the most popular gender for the main character is male and the next one is neuter and female.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subjects for gender with the sentences and the picture stories in the fairy tales, 「Problem-solving capability ? Creativity」, 「Wisdom ? Knowledge」, 「Nature ? Love of animals」are emphasized for male and female in the sentences, but 「problem-solving capability ? Creativity」for male and 「Nature ? Love of animals」for female in the picture books.
Forth,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job tendency of male and female adults in the picture fairy tales, males appears to engage in various kinds of jobs. On the other hand, female is usually described as mostly house wives in the limited jobs.
Fifth, in the picture fairy tales, male adults often appear to engage in social jobs, but female adults in household affairs. Male children usually do dynamic activities, but female children do static work.
Sixth,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activity place outdoors and indoor for the main characters, hero tends to act outdoor more often than heroine.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 그림동화책에 나타난 성 역할 분석
- 생활과학연구소 봄 심포지엄 [주제:생활과학부의 발전을 위한 모색]
-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규정
- 생활과학연구소 가을 심포지엄 토론 [주제: 생활과학과 문화사업]
- 대학생들의 개인재무관리 교육 내용 개발을 위한 연구 - 가톨릭대 학생들을 중심으로 -
- 의류상표 전략을 위한 컨조인트 분석의 활용
- 반편견 그림책을 통한 문학적 접근이 유아의 친사회적 추론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 피부관리 및 메이크업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부천ㆍ인천 소재에서 운영되고 있는 피부미용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 개별 주문 생산에 의한 남성 재킷의 착의 평가 - 중년 비만 남성을 중심으로 -
- 노년기 '행복 찾기' 프로그램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베이커리카페의 브랜드 자산이 브랜드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외식 소셜미디어에 대한 지각된 가치가 지식공유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커피산업 종사자의 자기주도 직무재구성이 직무만족, 직무열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