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f Zhuangzi and Heidegger: Centering on the Concepts of Wu(Nothingness) and Being
- 발행기관
- 한국인간과자연학회
- 저자명
- 신응철(Eung-Chol Shin)
- 간행물 정보
- 『인간과자연』제6권 제3호, 195~22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1.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동양의 장자(莊子)와 서양의 하이데거(M. Heidegger) 사상을 비교하여 그 공통점과 시사점을 찾아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장자의 ‘무’ 개념과 하이데거의 ‘존재’ 개념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전개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필자는 먼저 본론에서는 장자의 ‘무’ 개념과 그 특징을 살펴본다. 여기에서는 『장자(莊子)』 내편(內篇)의 소요유(逍遙遊), 제물론(齊物論), 양생주(養生主)에서의 무의 이해를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장자 사상에서 무와 무위 개념의 의미를 심도있게 논의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필자는 하이데거의 ‘존재’ 개념과 그 특징을 살펴본다. 여기에서는 『존재와 시간』에서 ‘현존재’, ‘세계-내-존재’, ‘죽음을 향한 존재’를 통한 존재 이해를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하이데거 사상에서 ‘존재’와 기초존재론의 의미와 중요성을 살펴보도록 한다. 또한, 필자는 계속해서 장자와 하이데거 사상을 상호 비교하도록 한다. 특히 이 부분에서는 존재와 비존재의 탐구, 자연스러움과 자발성, 기술비판과 존재의 망각이라는 관점에서 논의를 전개하도록 한다. 필자는 마지막으로 갈등과 분열의 정점에 있는 한국사회에 장자와 하이데거 사상이 던지는 시사점을 제시하면서 논의를 마무리하고자 한다.
필자가 이러한 논의를 하면서 주목하는 부분은 다음과 같다. 장자의 ‘무’와 ‘무위’의 철학은 하이데거 사상의 존재론적 탐구와 본래적 삶의 추구와 여러 철학적 교점을 공유하고 있다는 측면이다. 이 두 사상은 동서양 철학의 경계를 넘어서, 인간이 본질적인 존재 의미를 발견하고 자연스러운 삶을 추구하는 데 있어 공동의 이해를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교차점은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하는 철학적 대화를 풍부하게 만들어 줄 수 있다고 판단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philosophies of the Eastern thinker Zhuangzi and the Western philosopher Martin Heidegger, in order to identify their commonalities and implications. To this end, the discussion will focus on Zhuangzi’s concept of wu (non-being) and Heidegger’s concept of Being.
To this end, the author will first examine Zhuangzi’s concept of wu (non-being) and its characteristics in the main body of the paper. The discussion will focus on Zhuangzi’s understanding of wu in the chapters Xiaoyaoyou (Free and Easy Wandering), Zhiwulun (Equality of All Things), and Yangshengzhu (The Master of Nourishing Life) from the Inner Chapters of the Zhuangzi. Through this, the paper aims to deeply explore the meanings of the concepts of wu and wuwei (non-action) in Zhuangzi’s philosophy. Next, the author will examine Heidegger’s concept of Being and its characteristics. This part of the paper will discuss Heidegger’s understanding of Being through the concepts of Dasein (being-there), Being-in-the-world, and Being-toward-death from his work Being and Time. The goal i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and importance of Being and foundational ontology in Heidegger’s thought. Furthermore, the author will continue to compare the philosophies of Zhuangzi and Heidegger. In particular, this section will delve into the exploration of being and non-being, spontaneity and naturalness, criticism of technology, and the forgetting of Being. Finally, the author will conclude by presenting the implications of Zhuangzi and Heidegger’s philosophies for Korean society, which is at the pinnacle of conflict and division.
The main point of focus in this discussion is as follows: Zhuangzi’s philosophy of wu and wuwei shares several philosophical intersections with Heidegger’s ontological inquiry and the pursuit of an authentic life. These two philosophies transcend the boundaries of Eastern and Western thought, offering a common understanding for human beings to discover the essence of their existence and pursue a natural life. Such intersections could enrich philosophical dialogue based on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갈등과 분열의 한국 사회에 던지는 시사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상호 신뢰의 조건에 대한 롤즈의 해석
- 카를로스 가르델(Carlos Gardel)과 알프레도 레 페라(Alfredo Le Pera)의 협업 작품 연구
- 동서 사상의 만남을 위한 시론적 작업으로서 장자와 하이데거 비교 - ‘무’(無)와 ‘존재’ 개념을 중심으로
- 푸가의 음악적 변용에 관한 연구 - 니체의 예술 철학을 중심으로
- 제임스 레게(Legge)와 제임스 게일(Gale)의 ‘서(恕)’ 번역 - 다산 정약용의 ‘서’ 해석과 비교하여
- 가야금병창 연구의 구조적 편향과 학문적 과제
- 김세종제 춘향가 설렁제의 음악적 특징에 관한 연구 - 성창순, 성우향, 조상현 唱을 중심으로
- 벌린의 긍정적 자유와 자발적 식음 중단
- 미래예술교육을 위한 e스포츠 기반 영상문화 활용 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상호 신뢰의 조건에 대한 롤즈의 해석
- 카를로스 가르델(Carlos Gardel)과 알프레도 레 페라(Alfredo Le Pera)의 협업 작품 연구
- 동서 사상의 만남을 위한 시론적 작업으로서 장자와 하이데거 비교 - ‘무’(無)와 ‘존재’ 개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