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년 일자리 정책은 청년 여성의 “지방 탈출”을 막을 수 있는가?: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이용수  3

영문명
Could Youth Employment Policies Prevent Young Women from Leaving the Provinces?: A Case Study of Ulsan Metropolitan City
발행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저자명
김하영(Ha Young Kim)
간행물 정보
『여성연구』통권 제125호, 5~37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노동시장의 성 불평등을 간과한 채 추진되고 있는 청년 일자리 정책이 청년 여성의 역외 유출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청년 일자리 정책이 청년 여성의 지방 탈출을 막을 수 있는가?”라는 질문으로 압축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노동시장의 성 불평등이 심각한 울산을 하나의 사례로 삼아 각종 통계자료와 선행연구 그리고 정책 보고서 등을 검토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울산의 강고한 산업 가부장제가 여성을 주된 생계부양자로 보지 않는 사회문화적 분위기를 조성하여 청년 여성이 지역의 노동시장에 긍정적 전망을 갖기가 어려운 상황임에도, 울산시의 청년 일자리 정책은 이들이 경험하는 노동시장의 성별 격차를 고려하지 않은 채 추진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청년 여성의 역외 유출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청년 일자리 정책이 노동시장에 존재하는 성 불평등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재편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바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veals how youth employment policies, implemented without considering gender inequality in the labor market, fail to address the unique challenges faced by young women, which can be summarized in the question: “Could youth employment policies prevent young women from leaving the provinces?” Focusing on Ulsan as a case study—a region with pronounced labor market gender inequality—this study analyzes basic statistics, prior research, and official reports. Our findings indicate that Ulsan’s strong industrial patriarchy creates a social climate that excludes women from primary earners, making it difficult for young women to envision a future in the local labor market. Despite this gendered reality, Ulsan’s youth employment initiatives continue to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without accounting for these structural gender inequalities. To effectively counter the exodus of young women from provincial areas to Seoul, youth employment policies must undergo substantial restructuring to incorporate gender-sensitive perspectives and actively address the persistent gender inequalities embedded in regional labor market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 방법
Ⅳ. 울산의 인구변화와 청년 여성의 역외 유출
Ⅴ. 울산시 청년정책의 현황: 일자리 분야를 중심으로
Ⅵ. 정책과 삶의 ‘간극’: 노동시장에서의 성 불평등
Ⅶ.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하영(Ha Young Kim). (2025).청년 일자리 정책은 청년 여성의 “지방 탈출”을 막을 수 있는가?: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여성연구, (), 5-37

MLA

김하영(Ha Young Kim). "청년 일자리 정책은 청년 여성의 “지방 탈출”을 막을 수 있는가?: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여성연구, (2025): 5-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