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patial Characteristics of Baekje Stone Fortresses: Focusing on the Middle Reaches of the Geumgang River
- 발행기관
- 호서고고학회
- 저자명
- 강성혁(Seonghyeok Kang)
- 간행물 정보
- 『호서고고학』62집, 117~14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금강 중류역(공주·대전·세종·청주)에 분포하는 백제 석축산성을 대상으로 GIS 기반 공간 분석과 고고학적 유형 분석을 통해 백제의 지방 통치 체계와 방어 전략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군집 분석, 커널 밀도 분석, 가시권 분석 등의 정량적 분석 기법과 축조기법의 유형화를 병행하여 산성들의 공간적 분포와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상 산성들은 입지 조건(지형, 해발고도)과 산성의 규모 및 구조적 특징에 따라 몇 개 군집으로 분류되는 양상을 보였다. 커널 밀도 분석을 통해 금강 본류와 지류 합류부 등 교통상의 요충지를 중심으로 산성들이 밀집 분포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가시권 분석 결과, 산성들 간 상호 가시성이 높아 서로를 직접 관찰할 수 있는 유기적인 방어망을 형성하였음이 드러났다. 아울러 편축식에서 편축식·협축식 병용으로의 축조기법 변천을 바탕으로 한 시기별 축성 양상과 국경 방어 거점과 지방 통치 거점이라는 기능적 차별성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백제 산성 축성이 지방 통치 체계의 변화 및 방어 전략의 발전 과정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정량적 분석 기법과 고고학 자료를 유기적으로 결합함으로써 백제 산성 연구에 새로운 해석의 틀을 모색하였으며, 향후 고고학 연구에서 전통적 방법론과 디지털 기술의 균형 잡힌 결합을 통한 접근 가능성을 제시한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construction techniques of Baekje stone fortresses in the mid-Geumgang River region, including Gongju, Daejeon, Sejong, and Cheongju, to better understand Baekje’s local governance and defense strategies. Using GIS based methods kernel density estimation, K-means clustering, and viewshed analysis alongside typological analysis, the study identifies spatial patterns and chronological developments in fortress construction.
Results show that fortresses cluster near major transportation hubs, particularly river confluences, and exhibit high intervisibility, indicating a coordinated defensive network. Typological analysis suggests a transition from early single-faced (Type I) to later mixed single/double-faced (TypeⅡ) constructions, reflecting shifts in administrative priorities and defense needs.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Baekje’s fortress construction was strategically aligned with regional control and evolving defense systems. The integration of digital spatial analysis with archaeological typology offers a new framework for interpreting ancient fortifications and highlights the value of combining traditional and digital methods in archaeological research.
목차
Ⅰ. 머리말
Ⅱ. 연구사 및 연구목적
Ⅲ. 금강 중류역 석축산성의 공간 분석
Ⅳ. 공간 분석과 축조기법에 대한 시론적 고찰
Ⅴ. 맺음말
인용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한국사시민강좌
- 대전의 성곽
- 윤무병박사회갑기념논총
- 백제의 멸망과 부흥운동
- 한국고고학전문사전-성곽·봉수편
-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백제학보
- 역사와 담론
- 국립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한국고대사연구
- 백산학보
- 신라사학보
- 백제연구
-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백제연구
- 백제연구
- 백제연구
-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청주 부모산성의 종합적 고찰
- 한국성곽학보
- 대전문화
- 고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선사와 고대
- 백제문화
- 한국고대사탐구
- 백제연구
- 백제연구
- 백제연구
- 백제연구
-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한국성곽학보
- 백제연구
- 고고역사학지
- 대전문화
- 공주교대논총
- 백제연구
- 박물관보
- 마한·백제문화
- 마한·백제문화
- 고구려발해연구
- 호서고고학
-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백제연구
- 한국사학보
- 향토서울
- 선사와 고대
-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백제연구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American Antiquity
- 제24회 쟁점백제사 학술회의 자료집
- 한국기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 청주의 산성과 부모산성 학술대회 자료집
- 2022 백제왕도핵심유적 학술대회 자료집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