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ssociation Between Retinal Layer Thickness and Cerebral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in Older Adults
- 발행기관
- 대한노인정신의학회
- 저자명
- 김학현(Hak Hyeon Kim) 권민정(Min Jeong Kwon) 박지은(Jieun Park) 김준성(Jun Sung Kim) 김재형(Jae Hyoung Kim) 우세준(Se Joon Woo) 김기웅(Ki Woong Kim) 김형민(Hyeong Min Kim) 한지원(Ji Won Han)
- 간행물 정보
- 『노인정신의학』제29권 제2호, 37~4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 Retinal and cerebral small vessel changes may share common mechanisms in aging and neurodegeneration.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s between macular retinal layer thickness and cerebral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WMH) in older adults.
Methods: We included 166 community-dwelling participants (mean age 75.2 years) from two population-based aging cohorts who underwent both 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d brain MRI. Retinal thickness was measured across six retinal layers in the macular region, the peripapillary retinal nerve fiber layers, and the subfoveal choroid. WMH volumes were classified into juxtaventricular (JVWMH), periventricular (PVWMH), and deep (DWMH) regions. Linear regression models adjusted for age, sex, hypertension, and diabetes were used to assess associations.
Results: Outer macular ganglion cell layer (GCL) and inner plexiform layer (IPL) thicknesses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otal WMH, PVWMH, and DWMH volumes. In contrast, foveal inner nuclear layer (INL) thickness showed a positive association with WMH burden. JVWMH volumes showed no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most retinal layers.
Conclusion: Outer GCL and IPL thickness was associated with lesser cerebral WMH volumes, while foveal INL thicknening suggests a distinct pathological process. These findings support potential retina-brain structural correlations and regional pathophysiological heterogeneity of cerebral white matter lesions.
영문 초록
목차
서 론
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활동기록기 기반 수면 지표를 이용한 우울증 예측
-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를 투여받는 알츠하이머병 환자에서 정신행동증상에 대한 콜린 알포세레이트 병용 치료의 효과
- 알츠하이머병의 혈액 기반 바이오마커: 최신 동향과 임상적 과제
- 노인에서 망막층 두께와 뇌 백질 고강도 신호의 연관성 연구
- 섬망 인식 척도 개발과 간병제공자의 섬망 인식 특징
- 치매전담형 요양기관 이용자와 일반 요양기관 이용자 간 사망률과 질병 이환율의 차이
- 비치매 노인에서 아밀로이드 베타 양성 여부에 따른 혈청 비타민 D 농도와 삽화기억 간 연관성 차이
- 주민주도형 회상요법 프로그램이 농촌지역 노인의 외로움 및 정신건강 증진에 미치는 효과
- Lecanemab 사용 6개월 이내 임상양상 증례보고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