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치매 노인에서 아밀로이드 베타 양성 여부에 따른 혈청 비타민 D 농도와 삽화기억 간 연관성 차이

이용수  0

영문명
Differential Association of Serum Vitamin D Level With Episodic Memory According to Aβ Positivity Status in Nondemented Older Adults
발행기관
대한노인정신의학회
저자명
박준하(Junha Park) 변민수(Min Soo Byun) 이다현(Dahyun Yi) 안혜진(Hyejin Ahn) 정준형(Joon Hyung Jung) 공나영(Nayeong Kong) 장윤영(Yoon Young Chang) 정기정(Gijung Jung) 이준영(Jun-Young Lee) 김유경(Yu Kyeong Kim) 이윤상(Yun-Sang Lee) 강경미(Koung Mi Kang) 손철호(Chul-Ho Sohn) 이동영(Dong Young Lee)
간행물 정보
『노인정신의학』제29권 제2호, 54~60쪽, 전체 7쪽
주제분류
의약학 > 정신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Objective: We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vitamin D levels and episodic memory and tested whether this association was modified by β-amyloid (Aβ) positivity in nondemented older adults. Methods: A total 427 nondemented older adults were included for this study. All participants underwent clinical assessments, amyloi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and MRI, and serum 25-hydroxyvitamin D (25(OH)D) levels measurement. For evaluation of episodic memory, performances on immediate recall (IR), delayed recall (DR), and recognition (Rc) of the Logical Memory Subtest of the Wechsler Memory Scale–Fourth Edition were assessed for all participants. Results: Overall, serum 25(OH)D leve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Rc. In addition, the interaction between serum 25(OH)D levels and Aβ positivity was significant for 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25(OH)D levels and all three measurements of episodic memory. Subsequent subgroup analyses revealed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serum 25(OH)D levels and IR, DR, and Rc in the Aβ-positive group, but not in the Aβ-negative group.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a differential association between serum vitamin D level and episodic memory according to Aβ positivity status in nondemented older adult, indicating the importance of serum vitamin D in episodic memory, particularly among those within Alzheimer’s disease spectrum.

영문 초록

목차

서 론
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준하(Junha Park),변민수(Min Soo Byun),이다현(Dahyun Yi),안혜진(Hyejin Ahn),정준형(Joon Hyung Jung),공나영(Nayeong Kong),장윤영(Yoon Young Chang),정기정(Gijung Jung),이준영(Jun-Young Lee),김유경(Yu Kyeong Kim),이윤상(Yun-Sang Lee),강경미(Koung Mi Kang),손철호(Chul-Ho Sohn),이동영(Dong Young Lee). (2025).비치매 노인에서 아밀로이드 베타 양성 여부에 따른 혈청 비타민 D 농도와 삽화기억 간 연관성 차이. 노인정신의학, 29 (2), 54-60

MLA

박준하(Junha Park),변민수(Min Soo Byun),이다현(Dahyun Yi),안혜진(Hyejin Ahn),정준형(Joon Hyung Jung),공나영(Nayeong Kong),장윤영(Yoon Young Chang),정기정(Gijung Jung),이준영(Jun-Young Lee),김유경(Yu Kyeong Kim),이윤상(Yun-Sang Lee),강경미(Koung Mi Kang),손철호(Chul-Ho Sohn),이동영(Dong Young Lee). "비치매 노인에서 아밀로이드 베타 양성 여부에 따른 혈청 비타민 D 농도와 삽화기억 간 연관성 차이." 노인정신의학, 29.2(2025): 54-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