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fear of sexual violence crimes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 발행기관
- 한국테러학회
- 저자명
- 이규범(Kyu-Pom Yi)
- 간행물 정보
- 『한국테러학회보』제18권 제3호, 189~20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10년 동안 한국 사회에서는 전체 범죄율이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성폭력 범죄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성폭력 범죄의 증가는 여성들의 범죄두려움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성폭력 범죄두려움에 관한 연구는 탈북 여성, 여대생, 여성 노인 등 다양한 대상을 중심으로 연구가 수행되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연령대를 중심으로 10대부터 60대 이상의 여성의 성폭력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20 전국범죄피해조사 중 여성 응답자의 7,255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여성의 성폭력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요인을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범죄소식과 사회적 무질서는 10대 여성에서부터 60대 이상의 여성에게 있어서 성폭력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물리적 무질서의 경우에는 20대 여성과 40대 여성 그리고 50대 여성에게 성폭력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며, 비공식적 사회통제는 모든 연령대의 여성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공식적 사회통제는 50대 여성 및 60대 이상의 여성의 성폭력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성폭력 범죄두려움에 관한 정책은 그 연령대에 적합한 치안정책이 제시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성폭력 범죄두려움에 관한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In the past 10 years, despite the overall crime rate in Korean society decreasing, sexual violence crimes have been steadily increasing. The increase in sexual violence crimes is a factor that increases women's fear of crime. Research on fear of sexual violence crimes has been conducted on a variety of subjects, including North Korean defectors, female college students, and elderly women. However,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fear of sexual violence crimes among women in their teens to those in their 60s or older, focusing on the age groups of women.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7,255 female respondents in the 2020 National Crime Victimization Survey. In addition,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studies to verify the factors affecting women’s fear of sexual violence crimes by dividing them into person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news of crime and social disorder affect the fear of sexual violence for women from their teens to women in their 60s and older. In the case of physical disorder, it affects the fear of sexual violence crime for women in their 20s, 40s, and 50s, while informal social control does not affect women of any age. Finally, formal social control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fear of sexual crimes among women in their 50s and women in their 60s and older. Thes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policies on fear of sexual crimes should be presented as security policies appropriate for that age group.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olicy suggestions on fear of sexual crimes were mad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I 범죄에 대한 법적 대응 과제 : 생성형 AI를 중심으로
- 경찰공무원의 과로 위험과 구조적 원인 진단
- 사회관계망 분석을 통한 동맹 관계와 중심성 변화 연구 : 펠로폰네소스 전쟁의 도시국가를 중심으로
- AI 딥페이크 시대의 국가안보와 법적 대응 : 심리전, 인지전, 정보전을 중심으로
- 일주기 리듬 이론에 기반한 글로벌 테러 패턴분석과 국가 경호안전 대응체계 발전 방향 : 국내외 요인테러 사건 실증적 접근
- 한국 군인의 총기 사고에 관한 종단적 연구 : 원인, 추세, 정책적 시사점을 중심으로
- 육군 교육훈련 평가체계 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개인적 특성과 지역적 특성의 성폭력 범죄두려움에 관한 연구
- 사이버안보에 대한 법제의 검토 : 독일의 사이버테러 대응을 중심으로
- 무인기 감항인증 추진방안 연구
- 경찰에서 AI 사용 원칙에 대한 고찰(1) : AI의 활용과 응용
- 군 교육기관의 교육성과 제고를 위한 신교수법 확대 적용 방안 : 해군사관학교 영어교육을 중심으로
- 다문화 수용에 대한 부정적 인식 비교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트라이포트 마약탐지 기술-정책 융합 전략
- 중동 드론위협 양상에 따른 대드론 시스템 발전방안 연구 : 드론테러 발생 위험도 평가모델 적용
- 경찰특공대 직무특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 매개효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