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National Security Threats Posed by Deepfake Technology and the Legal Response Framework
- 발행기관
- 한국테러학회
- 저자명
- 오승연(Seung-Yeon OH) 박상진(Sang-Jin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테러학회보』제18권 제3호, 168~188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AI 기반의 딥페이크 기술이 국가안보에 미치는 위협을 심리전, 인지전, 정보전의 관점에서 고찰하고, 이에 대한 현행 형사법적 규율의 한계와 정책적 대응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딥페이크는 고도화된 AI를 기반으로 조작된 시청각 정보를 생산하여 국민의 인식과 행동을 왜곡시키고, 정보환경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해치는 수단으로 악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AI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딥페이크는 심리전, 인지전, 정보전을 매개하는 복합 기술로서 인간의 감정, 인지, 정보체계를 동시다발적으로 공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Hybtid) 위협으로 기능한다. 이에 따라 형법, 정보통신망법, 전기통신기본법, 국가보안법 등 현행 법률의 적용 가능성과 한계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기존 법체계는 개인 보호에 치중되어 있고 딥페이크의 복합적 위협성을 포괄하지 못하는 한계가 확인되었다. 본 논문은 딥페이크 기반 인지적, 심리적 조작에 대응하기 위한 불법정보 규정 강화, 국가안보 중심의 딥페이크 법 해석 및 실시간 대응체계 구축 등 종합적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rapid advance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has facilitated the proliferation of deepfake technologies, raising profound concerns for national securit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ultifaceted threats posed by AI-generated deepfakes through the analytical frameworks of psychological warfare, cognitive warfare, and information warfare. Employing a doctrinal legal analysis, the paper examines the applicability and limitations of existing regulatory instruments, including the Criminal Act, the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the Framework Act on Telecommunications, and the National Security Act. The findings reveal that current legislation is predominantly oriented toward individual protection and insufficiently addresses the hybrid nature of deepfakes, which simultaneously target emotions, cognition, and information systems. To address these gaps, the study proposes comprehensive policy measures: strengthening statutory provisions on illicit information, reinterpreting legal norms from a national security perspective, and establishing real-time institutional mechanisms to counter cognitive and psychological manipulation. By situating deepfakes within the broader discourse of hybrid threats, this research advances legal scholarship and policy development, offering insights into how states can enhance resilience against emerging AI-driven security challeng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AI 딥페이크의 국가안보 위협 사례분석
Ⅳ. AI 기반 딥페이크의 법적 규율과 국가안보적 함의
Ⅴ. 결론 및 정책적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I 범죄에 대한 법적 대응 과제 : 생성형 AI를 중심으로
- 경찰공무원의 과로 위험과 구조적 원인 진단
- 사회관계망 분석을 통한 동맹 관계와 중심성 변화 연구 : 펠로폰네소스 전쟁의 도시국가를 중심으로
- AI 딥페이크 시대의 국가안보와 법적 대응 : 심리전, 인지전, 정보전을 중심으로
- 일주기 리듬 이론에 기반한 글로벌 테러 패턴분석과 국가 경호안전 대응체계 발전 방향 : 국내외 요인테러 사건 실증적 접근
- 한국 군인의 총기 사고에 관한 종단적 연구 : 원인, 추세, 정책적 시사점을 중심으로
- 육군 교육훈련 평가체계 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개인적 특성과 지역적 특성의 성폭력 범죄두려움에 관한 연구
- 사이버안보에 대한 법제의 검토 : 독일의 사이버테러 대응을 중심으로
- 무인기 감항인증 추진방안 연구
- 경찰에서 AI 사용 원칙에 대한 고찰(1) : AI의 활용과 응용
- 군 교육기관의 교육성과 제고를 위한 신교수법 확대 적용 방안 : 해군사관학교 영어교육을 중심으로
- 다문화 수용에 대한 부정적 인식 비교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트라이포트 마약탐지 기술-정책 융합 전략
- 중동 드론위협 양상에 따른 대드론 시스템 발전방안 연구 : 드론테러 발생 위험도 평가모델 적용
- 경찰특공대 직무특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 매개효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