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Systematic Semantic Relationships of Russian and English Phraseology: Focusing on Synonyms and Antonyms
 - 발행기관
 - 한국슬라브어학회
 - 저자명
 - 한만춘(Man-Choon Han)
 - 간행물 정보
 - 『슬라브어 연구』제30권 제2호, 19~3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Russian and English phraseology expressing human moral qualities, focusing on synonymy and antonymy to analyze their semantic structures. Russian expressions frequently employ body parts (сердце, душа, руки) and religious or mythological images (ангел, агнец, Янус) to symbolize inner disposition and moral character. In contrast, English phraseology predominantly uses animals, objects, and abstract concepts to convey human traits from experiential and social perspectives.
Synonym sets in both languages distinguish positive and negative qualities, forming layered evaluative networks (e.g., Russian золотое сердце vs. двуликий Янус; English a big heart vs. a wolf in sheep’s clothing). Positive synonyms are more commonly used in contemporary language, whereas some negative expressions remain largely literary or archaic. Antonym sets complement synonyms by emphasizing semantic contrast and evaluative function, expressed in Russian through negation and prefixes (e.g., робкого десятка ↔ не (из) робкого десятка) and in English through opposing adjectives (e.g., a cool head ↔ a hot head). Usage patterns also differ: Russian обросло мхом сердце is archaic, while English all sugar and honey remains frequent and often satirical.
Overall, Russian and English phraseology constructs a dynamic semantic system through synonymy and antonymy, conveying moral evaluation and human character. Differences in figurative representation reflect cultural moral and psychological worldviews, and usage patterns reveal both contemporary vitality and historical or literary constraints.
                    영문 초록
목차
Ⅰ. 들어가기
	                       
	                          Ⅱ. 관용구 동의어
	                       
	                          Ⅲ. 관용구 반의어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슬라브어 연구 제30권 제2호 목차
 - 러시아어 콜로케이션 A+N의 어휘 의미-고정성 유형 분석 - 사전 및 코퍼스 자료를 중심으로
 - 조어의미의 본질과 특성
 - 화용화된 명령형 구문 ‘смотри(те) + не + Imp’의 경고 의미 분석
 - 러시아어에서의 거절 화행 유형 연구: 간접 거절과 화행 부정의 화용적 함의
 - Алгоритм ведения занятий РК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русских паремий в корейской аудитории
 - Slang vo výučbe slovenského jazyka ako cudzieho jazyka
 - 러시아어와 영어 관용구의 체계적 의미 관계 고찰: 동의어와 반의어를 중심으로
 - 러시아 미디어에서 생태적 담화의 수사 전략과 어휘-의미적 특성
 - 포스트소비에트 공간에서의 러시아인 디아스포라와 러시아어의 상황연구
 - 한강의 『채식주의자』 러시아어 번역본 번역 전략 연구 - 문학소통모델에 따른 문학번역 소통의 미학
 - Виртуальная учебная экскурсия на уроках РКИ в корейской аудитории (уровни А2-В1)
 - Náboženská komunikácia vojvodinských Slovákov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