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Warning Semantics in the Pragmaticalized Imperative ‘smotri(te) + ne + Imp’ Construction
- 발행기관
- 한국슬라브어학회
- 저자명
- 아지모바 나시바(Azimova Nasiba)
- 간행물 정보
- 『슬라브어 연구』제30권 제2호, 53~7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pragmaticalized imperative смотри(те) frequently appears in colloquial Russian discourse as a means of issuing warnings and prompting the avoidance of undesirable outcomes. Among its various uses, the construction смотри(те) + не + Imp.Ipfv/Pfv is particularly frequent.
This study examines the semantic and pragmatic characteristics of this construction and its variants through a corpus-based analysis, using authentic data extracted from the Russian National Corpus. The analysis is theoretically grounded in Langacker’s speech act scenario model, which provides a cognitive-linguistic framework for describing speaker–hearer interaction, social distance, and control dynamics.
Key linguistic parameters (such as grammatical aspect, modal particles (только, да), second-person pronouns (ты, вы), and rhetorical dative expressions (мне)) a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role in shaping the strength, directionality, and interpretation of warning utterances. The perfective aspect typically conveys prevention of a single discrete event, while the imperfective aspect emphasizes the inhibition of habitual or intentional actions. Modal particles serve distinct functions: только foregrounds the assumed non-intentionality of the addressee’s action and reinforces normative framing, whereas да signals assertive speaker stance and intensifies directive force. Second-person pronouns modulate interpersonal distance and involvement, while the rhetorical dative both marks personal engagement and introduces an emotionally charged or threatening nuance.
Despite their structural simplicity, these expressions encode complex speaker intentions and perform layered discourse functions. The findings illustrate how Russian warning utterances deploy coordinated linguistic strategies to regulate behavior and construct nuanced cognitive-pragmatic meaning.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슬라브어 연구 제30권 제2호 목차
- 러시아어 콜로케이션 A+N의 어휘 의미-고정성 유형 분석 - 사전 및 코퍼스 자료를 중심으로
- 조어의미의 본질과 특성
- 화용화된 명령형 구문 ‘смотри(те) + не + Imp’의 경고 의미 분석
- 러시아어에서의 거절 화행 유형 연구: 간접 거절과 화행 부정의 화용적 함의
- Алгоритм ведения занятий РК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русских паремий в корейской аудитории
- Slang vo výučbe slovenského jazyka ako cudzieho jazyka
- 러시아어와 영어 관용구의 체계적 의미 관계 고찰: 동의어와 반의어를 중심으로
- 러시아 미디어에서 생태적 담화의 수사 전략과 어휘-의미적 특성
- 포스트소비에트 공간에서의 러시아인 디아스포라와 러시아어의 상황연구
- 한강의 『채식주의자』 러시아어 번역본 번역 전략 연구 - 문학소통모델에 따른 문학번역 소통의 미학
- Виртуальная учебная экскурсия на уроках РКИ в корейской аудитории (уровни А2-В1)
- Náboženská komunikácia vojvodinských Slovákov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한국 신종교의 종교 정체성 변용 과정 연구 : 원불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대인관계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자기노출의 매개효과
- 러시아어 콜로케이션 A+N의 어휘 의미-고정성 유형 분석 - 사전 및 코퍼스 자료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