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Russian Translation Strategies of Han Kang's “The Vegetarian” – The aesthetics of literary translation based on the literary communication model
- 발행기관
- 한국슬라브어학회
- 저자명
- 전혜진(Hye Jin Chun)
- 간행물 정보
- 『슬라브어 연구』제30권 제2호, 131~16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broaden the existing Anglo-centric discourse on the translation of Han Kang’s novel “The Vegetarian” by thoroughly analyzing and systematizing the translation strategies in the Russian version, based on the literary communication model.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ry communication, this study seeks to reconsider the traditional oppositional dichotomies in literary translation—such as accuracy versus readability and foreignization versus localization—by reestablishing translation strategies as complementary approaches within a multidimensional communicative framework. Furthermore, it redefines translation as an “act of communicating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an “act of creating communicative emotions,” rather than a mere process of linguistic reproduction. Theoretically, this study establishes and empirically examines the communicative structure of literary translation through a systematic analysis of the translation strategies used in rendering “The Vegetarian” into Russian on the base of literary communication model.
The research tasks are as follows:
First, to examine the literary communication model in relation to existing theories of literary translation as a preliminary step toward analyzing the Russian translation.
Second,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Han Kang’s Korean original “The Vegetarian” and its Russian translation.
Third, to classify and systematize the translation strategies of the Russian version on the base of the literary communication model.
Forth, to investigate the strategic choices made in the Russian translation in terms of literary communication, seeking balance and harmony between the source text and the translation, while identifying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Russian ver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expansion of the discourse beyond Anglo-centric translation studies. While previous research on “The Vegetarian” has primarily focused on English translations, this study highlights the multilingual reception of Korean literatur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ussian version. It is noteworthy that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advancing Korean literary translation studies in a more diversified and balanced direction, moving beyond English-language bias.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문학소통모델 관점에서 문학 번역 전략의 재해석
3. 한강의 『채식주의자』 러시아어 번역 전략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슬라브어 연구 제30권 제2호 목차
- 러시아어 콜로케이션 A+N의 어휘 의미-고정성 유형 분석 - 사전 및 코퍼스 자료를 중심으로
- 조어의미의 본질과 특성
- 화용화된 명령형 구문 ‘смотри(те) + не + Imp’의 경고 의미 분석
- 러시아어에서의 거절 화행 유형 연구: 간접 거절과 화행 부정의 화용적 함의
- Алгоритм ведения занятий РК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русских паремий в корейской аудитории
- Slang vo výučbe slovenského jazyka ako cudzieho jazyka
- 러시아어와 영어 관용구의 체계적 의미 관계 고찰: 동의어와 반의어를 중심으로
- 러시아 미디어에서 생태적 담화의 수사 전략과 어휘-의미적 특성
- 포스트소비에트 공간에서의 러시아인 디아스포라와 러시아어의 상황연구
- 한강의 『채식주의자』 러시아어 번역본 번역 전략 연구 - 문학소통모델에 따른 문학번역 소통의 미학
- Виртуальная учебная экскурсия на уроках РКИ в корейской аудитории (уровни А2-В1)
- Náboženská komunikácia vojvodinských Slovákov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한국 신종교의 종교 정체성 변용 과정 연구 : 원불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대인관계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자기노출의 매개효과
- 러시아어 콜로케이션 A+N의 어휘 의미-고정성 유형 분석 - 사전 및 코퍼스 자료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