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genda Analysis of Media Coverage on the Itaewon Disaster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Seungkyung Ham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21 No.9, 39~6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이태원 참사와 관련한 언론보도 의제를 분석했다. 분석 대상은 국내 5대 일간지이고, 분석기간은 참사 발생 이후 95일간이다. 구조적 토픽 모델링을 적용해, 토픽을 추출하고, 참사 발생 시간과 언론사의 정치적 지향에 따라 의제가 다루어지는 빈도의 차이가 있는지를 통계적으로 검증했다. 분석 결과 11개의 토픽이 추출되었다. 1) 시간의 경과에 따른 의제들의 빈도 변화를 분석한 결과, 참사 발생 이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논의 빈도가 증가한 의제는 ‘조사와 수사’, ‘진상규명’, ‘정치적 갈등’ 등으로 나타났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논의 빈도가 감소한 의제는 ‘추모와 애도’, ‘재난관리 실패’, ‘치유와 회복’ 등이었다. 2) 언론사의 정치적 지향에 따른 의제 빈도를 분석한 결과, 보수성향의 언론은 ‘명단공개’과 ‘참사현장‘ 의제의 논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진보성향의 언론은 ‘추모와 애도’, ‘정치적 갈등’, ‘재난 관리 실패’ 의제의 논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언론사의 정치적 지향과 시기에 따른 의제 빈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진보지와 보수지 모두에서 시간이 경과할수록 ‘조사와 수사’와 ‘진상규명’ 의제화 빈도가 증가하였다. 연구결과에 근거해서, 재난 보도의 한계와 역할에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media agendas related to the Itaewon disaster. The analysis focused on five major Korean daily newspapers. The study period covered 95 days following the disaster. Structural Topic Modeling was applied to extract key topics. Statistical tests examined differences by time and political orientation. A total of 11 topic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analysis. Over time, agendas such as “investigation and prosecution”, “fact-finding”, and “political conflict” increased in frequency. Conversely, “mourning and remembrance”, “disaster management failure”, and “healing and recovery” declined in salience. Conservative newspapers emphasized “disclosure of victim list” and “disaster site.” Progressive newspapers emphasized “mourning and remembrance”, “political conflict”, and “disaster management failure”. As for the differences in agenda frequency by political orientation and time, both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newspapers increasingly emphasized the agendas of “investigation and prosecution” and “fact-finding” as time passe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both the limitations and the roles of disaster reporting.
목차
문제제기
1. 문헌연구
2. 연구방법
3. 분석결과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비약물 중재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 이태원 참사 언론보도 의제분석
- 문화적 세계관에 따른 감염병 위험인식 및 귀인 인식의 차이: 한국인의 잠재집단 분석
- 청소년의 코로나19 감염 이후 건강 악화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 -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 노인의 사회적 신뢰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공적 노화의 매개효과: 횡단적 연구
- Media Bias, Misinformation and Public Veterinary Literacy: A One Health Mixed‑Methods Study
- 국가위기관리 수단으로서의 예비전력 능력 강화 방안 - 예비전력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 해양재난 대응체계에 관한 네트워크 분석 - 해양경찰청을 중심으로
- 지하주차장 전기자동차 화재 대피 안전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적용방안 - 이용자 관점에서
- 폐기물처리시설 입지의 공간 분포 패턴 및 특성
- 1인 가구 노인의 자살행동 정도의 변화 및 자살행동 예측요인 : 2013년 지역사회건강조사와 2021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 분석
- EQ-5D 건강 효용의 분포 특성에 대응한 베이지안 Two-part 모형 분석: 천장효과, 왜도, 음수값 문제의 통합적 접근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 경찰관의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간호학과 만학도의 대학생활 적응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 간호대학생의 정신병동 실습현장에서의 도덕적 고뇌 경험
-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3, 4학년을 중심으로
- 간호할 권리에 대한 소고 - 생태체계이론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Designing Child-Inclusive Disaster Management for Critical Infrastructure Failure
- Regulatory Approaches to Cosmetic Safety and Safety Assessment Regulations Focusing on Republic of Korea, the United States, the European Union, Japan, China, and Taiwan
- Knowledge of Cervical Cancer and Intention to Receive the Vaccine among Male Nursing Student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