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in the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Dain Jeong Jin Hee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21 No.9, 189~20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외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시행된 비약물 중재 프로그램 중에서 인지기능과정서적 요인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시행하고, 메타분석을 통해 비약물 중재 프로그램이 인지기능과정서적 요인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인지기능에서 효과크기가0.90의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으며, MEC-35 도구의 효과크기가 1.48로 가장 높았고, 8주 이상 시행한그룹의 효과크기가 1.36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정서기능의 전체 효과크기는 –0.55으로 중간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메타분석한 연구들의 중재는 인지개선 뿐만이 아니라 우울, 불안 등의 정서적인 문제들의 감소로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경도인지장애를 가진 노인들에게 인지장애 개선과 정서적문제 감소를 병행한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은 추후 경도인지장애에서 치매로 이환 되는것을 예방하며 우울증, 불안 감소로도 이어져, 결국에는 노인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도여겨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attempted to conduct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on cognitive function and emotional problems among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programs conducted for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effect size was found to be a large of 0.90 in cognitive function,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emotional problems was -0.55, indicating a medium effect size. The intervention in this study was found to not only cognitive improvement but also to reduction of emotional problem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developing and applying an intervention program that combines cognitive impairment improvement and emotional problem reduction to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it prevents the transition from mild cognitive impairment to dementia in the future, leading to a decrease in depression and anxiety, and eventually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비약물 중재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 이태원 참사 언론보도 의제분석
- 문화적 세계관에 따른 감염병 위험인식 및 귀인 인식의 차이: 한국인의 잠재집단 분석
- 청소년의 코로나19 감염 이후 건강 악화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 -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 노인의 사회적 신뢰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공적 노화의 매개효과: 횡단적 연구
- Media Bias, Misinformation and Public Veterinary Literacy: A One Health Mixed‑Methods Study
- 국가위기관리 수단으로서의 예비전력 능력 강화 방안 - 예비전력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 해양재난 대응체계에 관한 네트워크 분석 - 해양경찰청을 중심으로
- 지하주차장 전기자동차 화재 대피 안전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적용방안 - 이용자 관점에서
- 폐기물처리시설 입지의 공간 분포 패턴 및 특성
- 1인 가구 노인의 자살행동 정도의 변화 및 자살행동 예측요인 : 2013년 지역사회건강조사와 2021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 분석
- EQ-5D 건강 효용의 분포 특성에 대응한 베이지안 Two-part 모형 분석: 천장효과, 왜도, 음수값 문제의 통합적 접근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 경찰관의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간호학과 만학도의 대학생활 적응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 간호대학생의 정신병동 실습현장에서의 도덕적 고뇌 경험
-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3, 4학년을 중심으로
- 간호할 권리에 대한 소고 - 생태체계이론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Designing Child-Inclusive Disaster Management for Critical Infrastructure Failure
- Regulatory Approaches to Cosmetic Safety and Safety Assessment Regulations Focusing on Republic of Korea, the United States, the European Union, Japan, China, and Taiwan
- Knowledge of Cervical Cancer and Intention to Receive the Vaccine among Male Nursing Student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