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ediating Effect of Successful Ag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Trust and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Adults: A Cross-Sectional Study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Yu Hwa Shim Eunjeong Cho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21 No.9, 73~8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Rowe와 Kahn의 성공적 노화 모형에 근거하여, 노인의 사회적 신뢰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과정에서 성공적 노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23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9,955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2차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Baron과 Kenny의 3단계 매개효과 분석과 다중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적 신뢰는 질병 및 위험요인(β=.06, p<.001), 인지 및 신체 기능(β=.04, p<.001), 사회적 참여(β=.08, p<.001) 등 성공적 노화의 주요 요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요소들은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신뢰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직접효과(β=.19, p<.001) 역시 유의하게 유지되었으며, 부트스트래핑을 통해 사회적 참여가 가장 강력한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사회적 신뢰는 성공적 노화를 촉진함으로써 삶의 만족도를 직접적 및 간접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사회적 관계망 강화, 건강관리 지원, 사회참여 활성화와 같은 정책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based on Rowe and Kahn’s successful aging model, examined the effect of social trust on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adults and tested the mediating role of successful aging. Using secondary data from the 2023 National Survey on Older Adults in Korea (N = 9,955), multiple regression and medi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Results showed that social trust significantly predicted health management, cognitive and physical function, and social engagement, all of which enhanced life satisfaction. Among these, social engagement demonstrated the strongest mediating effect, as confirmed through bootstrapping. Importantly, the direct impact of social trust on life satisfaction also remained significan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ocial trust contributes to life satisfaction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by promoting successful aging. Policy measures that strengthen social networks, support health, and foster social participation can play a vital role in improving quality of life for older adul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Acknowledgement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비약물 중재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 이태원 참사 언론보도 의제분석
- 문화적 세계관에 따른 감염병 위험인식 및 귀인 인식의 차이: 한국인의 잠재집단 분석
- 청소년의 코로나19 감염 이후 건강 악화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 -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 노인의 사회적 신뢰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공적 노화의 매개효과: 횡단적 연구
- Media Bias, Misinformation and Public Veterinary Literacy: A One Health Mixed‑Methods Study
- 국가위기관리 수단으로서의 예비전력 능력 강화 방안 - 예비전력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 해양재난 대응체계에 관한 네트워크 분석 - 해양경찰청을 중심으로
- 지하주차장 전기자동차 화재 대피 안전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적용방안 - 이용자 관점에서
- 폐기물처리시설 입지의 공간 분포 패턴 및 특성
- 1인 가구 노인의 자살행동 정도의 변화 및 자살행동 예측요인 : 2013년 지역사회건강조사와 2021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 분석
- EQ-5D 건강 효용의 분포 특성에 대응한 베이지안 Two-part 모형 분석: 천장효과, 왜도, 음수값 문제의 통합적 접근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 경찰관의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간호학과 만학도의 대학생활 적응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 간호대학생의 정신병동 실습현장에서의 도덕적 고뇌 경험
-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3, 4학년을 중심으로
- 간호할 권리에 대한 소고 - 생태체계이론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Designing Child-Inclusive Disaster Management for Critical Infrastructure Failure
- Regulatory Approaches to Cosmetic Safety and Safety Assessment Regulations Focusing on Republic of Korea, the United States, the European Union, Japan, China, and Taiwan
- Knowledge of Cervical Cancer and Intention to Receive the Vaccine among Male Nursing Student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