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ocedural Justice,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Task Proactivity: The Mediated Moderation of Job Autonomy
- 발행기관
- 한국인사행정학회
- 저자명
- 김란 문명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행정학회보』제24권 제3호, 163~18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공공조직 구성원의 업무 선제성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기제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절차 공정성이 조직동일시를 매개하여 업무 선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매개 과정에서 업무 자율성이 어떠한 조절 역할을 하는지 통합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행정연구원의 「공・사조직 구성원 인식 비교 조사」 자료 중 공공부문 재직자 1,012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매개된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절차 공정성은 조직 동일시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조직동일시는 업무 선제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절차 공정성과 업무 선제성의 관계를 완전히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동일시가 업무 선제성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은 업무 자율성이 높은 집단에서 더욱 강하게 나타나, 업무 자율성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절차 공정성이 조직동일시를 거쳐 업무 선제성에 이르는 간접효과는 업무 자율성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매개된 조절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공조직의 적극행정을 촉진하기 위해 공정한 절차의 확립과 더불어, 구성원의 자율성을 보장하는 업무환경 조성이 필수적임을 실증했다는 점에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가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influencing the task proactivity of public sector employees. Specifically, it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dural justice and task proactivity, and the moderating role of job autonomy in this mediation process. Using data from 1,012 public employees from the “Comparative Survey of Public and Private Sector Employees”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a mediated moder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First, procedural justi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Seco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positively influenced task proactivity and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dural justice and task proactivity. Third, the positive effect of organizationalidentification on task proactivity was stronger for employees with higher levels of job autonomy, confirming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autonomy. Finally, the indirect effect of procedural justice on task proactivity via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was conditional on the level of job autonomy, supporting a significant mediated moderation effect. This study offers significa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demonstrating that fostering proactive administration in public organizations requires not only establishing fair procedures but also creating an autonomous work environment.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 연구 및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론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 지방정부연구
- 대한경영학회지
-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 경영학연구
-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 인사조직연구
- 현대사회와 행정
- 인적자원관리연구
- 인적자원관리연구
- 비서・사무경영연구
- 한국인사행정학회보
-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 한국행정논집
- NY: Hemisphere Publishing Corp/Harper & Row Publishers
-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 Journal of Management
-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NY: Plenum Press
-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 Psychological Methods
-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 NJ: Prentice-Hall
- C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Group & Organization Management
- Journal of Business Ethics
-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 Psychological Bulletin
- In Social exchange: Advances in theory and research
-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 Current Psychology
-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 Journal of Business Ethics
-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 Journal of Management
-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 American Psychologist
-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 Psychology
- In W. G. Austin & S. Worchel (Eds.), The social psychology of intergroup relations
- Intergroup relations: Essential readings
- Journal of Management
- Calif. L. Rev.
-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윤리적 동기와 행동의 괴리: 공공봉사동기, 조직동일시,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의 관계
- 디지털 리더십과 정치적 현저성이 공무원의 디지털 기술 활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기술 도입 수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리더십 스타일이 공공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정체성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