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우송(寓松) 김문연(金文演)의 「추재총화(秋齋叢話)」에 나타난 20세기 초 사문(斯文) 의식

이용수  0

영문명
The Scholarly Spirit(Samun, 斯文) of the Early 20th Century Reflected in 「Chujae Chonghwa(秋齋叢話)」by Usong(寓松) Kim Mun-yeon(金文演)
발행기관
동방한문학회
저자명
김보성(Bo-sung Kim)
간행물 정보
『동방한문학』제104호, 333~368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대동학회(大東學會)는 유림 계열을 친일화 할 목적으로 1907년 2월에 조직된 단체이다. 발족 동기가 불순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 활동을 한국 한문학사 끝자락의 결과물로서 객관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대동학회는 1908년 2월 25일에 『대동학회월보(大東學會月報)』 제1호를 발간했다. 이 기관지에는 사회・학술・문학 방면의 글이 두루 실렸다. 여기에 실린 한시는 대체로 유교개혁을 가장한 일제 침략정책을 대변하거나, 일본 문명의 이식(移植)을 선전하는 등 친일적 성격을 띠고 있다. 그렇다면 『대동학회월보』의 모든 글은 친일적 성격이 농후한 것인가? 본고에서는 『대동학회월보』 제1호에서 학계의 일반적인 상황을 되짚은 ‘김문연(金文演)’을 주목했다. 김문연은 『대동학회월보』에 사회・학술・문학 관련 글을 꾸준히 게재한 기고자인데, 『기호흥학회월보』에서도 저자로 활약했다. 유림을 친일화 하는 것이 목적인 『대동학회월보』와 국민을 교육시켜 국권을 수호하는 것이 목적인 『기호흥학회월보』에 모두 기고한 것이다. 다시 말해 김문연은 20세기 초 잡지에서 폭넓게 활동한 저자로 손꼽을 수 있다. 김문연의 필명은 우송한인(寓松閒人)이다. 『대동학회월보』에는 ‘김문연’이라는 본명과 ‘우송한인’이라는 필명으로 남긴 글이 다수 존재한다. 본고에서는 우송한인 김문연을 ‘우송’이라고 지칭했다. 우송은 「옹중일주(甕中一籌)」・「변유불변(變有不變)」 등의 논설을 통해 자신의 학식과 능력을 국가의 공리를 위해 펼치는 실천적인 지식인이 될 것을 주장했다. 단, 새로운 시대에 부흥한 격물학을 배우기에 앞서 동아시아에 면면히 전해진 사문(斯文) 의식을 장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송이 『대동학회월보』에 차기(箚記)의 형태의 「추재총화(秋齋叢話)」를 수차례 연재한 것은 20세기 초에도 이어져야 하는 사문 의식, 곧 인(仁)・의(義)・지(智)・염(廉)・효(孝)・제(悌)・신(信)을 옛 유학자의 행적에서 되찾고자 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추재총화」는 20세기 초에 저술된, 유교 윤리에 기반한 도덕적 판단의 역사서-명신록(名臣錄)이라고도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Daedong Society(大東學會) was an organization established in February 1907 with the aim of promoting pro-Japanese sentiment among the Confucian scholar-officials(yurim). While its founding motivations were indeed questionable, it is necessary to objectively analyze its activities as products situated at the final stage of Korea’s classical Chinese literary history. On February 25, 1908, the Daedong Society published the first issue of its official journal, 『Daedong Society Monthly(大東學會月報)』. This periodical included a wide range of writings on social, academic, and literary topics. The Chinese poetry(hansi) published in the journal generally served to advocate for Japan’s imperialist policies under the guise of Confucian reform or to promote the transplantation of Japanese civilization, reflecting a pro-Japanese stance. However, does this mean that all the writings in 『Daedong Society Monthly』 were overtly pro-Japanese? This paper focuses on ‘Kim Mun-yeon’(金文演), who reviewed the general academic climate in the first issue of the journal. Kim Mun-yeon was a regular contributor of social, academic, and literary articles to 『Daedong Society Monthly』 and was also active in 『Giheo Society for the Promotion of Learning Monthly(畿湖興學會月報)』. Remarkably, he contributed to both journals—one aimed at promoting pro-Japanese sentiment among the Confucian literati, and the other dedicated to educating the people and protecting national sovereignty. In this sense, Kim Mun-yeon can be regarded as one of the most prolific writers in early 20th-century Korean periodicals. It is presumed that Kim Mun-yeon used the pen name ‘Usong Hanin’(寓松閒人). Numerous articles in 『Daedong Society Monthly』 are signed either with his real name or the pseudonym Usong Hanin. In this paper, the author refers to him as ‘Usong’ Through essays such as 「Ongjung Ilju(甕中一籌)」 and 「Byeonyu Bupyeon(變有不變)」, Usong asserted that intellectuals must apply their knowledge and capabilities for the public good. However, he emphasized that before embracing the modern sciences of the new age, one must first internalize the traditional scholarly spirit[samun, 斯文] that had been passed down continuously in East Asia. It seems that Usong’s decision to serialize 「Chujae Chonghwa(秋齋叢話)」 several times in the form of chagi(箚記) in the 『Daedong Society Monthly』 stemmed from his desire to recover, from the deeds of former Confucian scholars, the scholarly ethos that ought to be upheld even in the early 20th century—namely benevolence(仁), righteousness(義), wisdom(智), integrity(廉), filial piety(孝), fraternal respect(悌), and trustworthiness(信). 「Chujae Chonghwa」 may be regarded as a kind of Myeongshinrok(名臣錄)—a historical record of moral judgments grounded in Confucian ethics—authored in the early 20th century.

목차

1. 서론
2. 우송의 논설과 그의 가치관
3. 우송의 문학에 구현된 사문 의식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보성(Bo-sung Kim). (2025).우송(寓松) 김문연(金文演)의 「추재총화(秋齋叢話)」에 나타난 20세기 초 사문(斯文) 의식. 동방한문학, (), 333-368

MLA

김보성(Bo-sung Kim). "우송(寓松) 김문연(金文演)의 「추재총화(秋齋叢話)」에 나타난 20세기 초 사문(斯文) 의식." 동방한문학, (2025): 333-3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