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개미취 열수 추출물이 천식성 염증 모델 유래 비장세포의 Th2 사이토카인 발현에 미치는 면역 조절 효과

이용수  0

영문명
Immunomodulatory Effects of Aster tataricus Extract on Th2 Cytokine Expression in Splenocytes Derived from an Asthmatic Inflammation Model
발행기관
한국산업기술융합학회(구. 산업기술교육훈련학회)
저자명
최성아(Sunga Choi)
간행물 정보
『산업기술연구논문지』제30권 3호, 95~100쪽, 전체 6쪽
주제분류
공학 > 산업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개미취(Aster Tataricus)는 국화과 식물로 여러 생리 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항균, 항산화, 항염증 활성이 보고되어 있다. 항원 자극 후 기억반응을 유지하는 제2형 보조 T(Th2) 세포에서 유래하는 사이토카인은 천식의 기도 염증 발달을 심화시키므로 본 연구에서는 개미취 열수 추출물(ATE)을 이용하여 면역 조절 효능을 평가하였다. 집먼지진드기로 감작시킨 후 ATE로 처리된 천식성 염증 모델 생쥐로부터 취한 비장세포를 배양하면서 분비된 Th2 관련 사이토카인의 수치 및 mRNA 발현변화를 각각 효소 결합 면역흡착법과 정량적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 반응으로 분석하였다. 감작된 대조군과 비교하여 모든 농도의 ATE를 처리한 군에서 interleukin (IL)-4, IL-5와 IL-13 사이 토카인 분비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각 유전자 발현도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종양괴사 인자-α의 분비량과 유전자 발현량도 ATE 처리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Th2 세포 활성을 제한하는 IFN-γ 발현량은 ATE 처리 후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ATE가 T 세포 활성화에 필요한 염증성 인자 발현을 억제하고, IFN-γ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Th2 관련 사이토카인의 분비량과 발현의 감소를 유도하는 면역 조절 효과를 가짐을 시사하였다. 최근 Th2 사이토카인을 표적으로 하는 생물학적 제제 개발에 있어 ATE가 천식성 염증 반응을 예방하거나 완화할 수 있는 잠재적인 약리 작용제로써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Aster tataricus contains various bioactive compounds with reported antibacterial, antioxidant, and anti inflammatory effects. Given that T cell-derived Th2 cytokines significantly exacerbate asthmatic inflamm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munomodulatory effects of Aster tataricus extract (ATE) as a potential therapeutic agent. Splenocytes from house dust mice-sensitized and dose-dependently ATE-treated asthmatic mice were isolated, cultured, and re-sensitized. Th2-associated cytokine secretion and mRNA expression levels were subsequently analyzed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and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sensitized control group, ATE treatment significantly inhibited interleukin (IL)-4, IL-5, and IL-13 secretion and gene expression, and reduced tumor necrosis factor-α levels. Notably, ATE treatment increased interferon-γ, a key suppressor of Th2 activity, indicating its role in immune modulation by inhibiting inflammatory factors essential for T cell activation.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position ATE as a potential pharmacological agent for preventing or alleviating asthmatic inflammatory responses. This discovery is in good alignment with current advancements in the development of biologics

목차

Ⅰ. 서 론
Ⅱ. 실험방법
Ⅲ. 실험결과
Ⅳ. 결 론
ACKNOWLEDGEMENT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성아(Sunga Choi). (2025).개미취 열수 추출물이 천식성 염증 모델 유래 비장세포의 Th2 사이토카인 발현에 미치는 면역 조절 효과. 산업기술연구논문지, 30 (3), 95-100

MLA

최성아(Sunga Choi). "개미취 열수 추출물이 천식성 염증 모델 유래 비장세포의 Th2 사이토카인 발현에 미치는 면역 조절 효과." 산업기술연구논문지, 30.3(2025): 95-1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