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Integrating the Four Resources Model to Promote Disability Awareness and Literacy Development in EFL Education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Bora Ju
- 간행물 정보
- 『영미문학교육』제29집 2호, 91~167쪽, 전체 7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12,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descriptive case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the Four Resources Model (Luke & Freebody, 1999) on the development of disability awareness and conventional literacy―specifically oral proficiency―among Korean university EFL learners. Three participants with diverse English proficiency levels and educational backgrounds engaged in a two-month instructional program that blended traditional and digital learning modalities. The curriculum incorporated multiple versions of Snow White, Beauty and the Beast, and The Little Mermaid―including original, parody, and animated forms―as multimodal texts to promote critical engagement. A mixed-methods design was employed, drawing on data from questionnaires, semi-structured interviews, group discussions, and prompt verbal counter-narrative productions conducted within a metaverse platform. Familiar fairy tales, recontextualized through critical multimodal literacy tasks, served as effective mediums for cultivating interpretive skills, learner motivation, and critical reflection. The findings revealed marked improvement in learners’ sensitivity to disability-related social issues alongside oral English proficiency―specifically in discourse organization, vocabulary use, grammatical accuracy, pronunciation, and syntactic complexity. Participation in the critical literacy activities expanded learners’ sociocultural awareness and nurtured empathetic, critically conscious attitudes toward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Moreover, avatar-based storytelling in the metaverse fostered learner autonomy and supporting sustained linguistic and cognitive engagement. This study highlights the pedagogical value of integrating the Four Resources Model with multimodal, digitally mediated literacy practices in EFL education. Such an approach not only advances conventional literacy skills but also fosters inclusive, socially responsible language users equipped to interrogate dominant ideologies and engage with real-world social issues.
영문 초록
목차
I. Introduction
II. Literature Review
III. RESEARCH METHODS
IV. Research Findings: Enhancing Disability Awareness and Speaking Proficiency through the Four Resources Model
V. Conclusion and Implications
Works Cited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미문학교육 제29집 2호 목차
- 기능적 문해력을 넘어서: 2025 가을특집호 내러티브와 영문학/영어교육 서문
- 세 개의 수사로 바라본 구텐베르크의 은하계 - 맥루한의 실(복)낙원, 문해력 탐색과 구원의 신앙
- Weaving Love and Grie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Meaning Making Journeys through Translingual and Dialogic Practices with a Picturebook
- Integrating the Four Resources Model to Promote Disability Awareness and Literacy Development in EFL Education
- 자아 인식과 심미성 탐색의 여정: 『어둠의 속』의 영어 교육적 함의
-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영미 드라마 수업에서 학습자의 학습역량 변화에 관한 탐구
- 심미적 감수성의 회복과 포스트휴먼 창의적 글쓰기: 리처드 파워즈의 『관대함』
- 『데이지 밀러』를 활용한 심미적 감성 교육
- 피터팬 이야기를 활용한 대학생 영작 활동 탐색: 챗GPT 기반 피드백을 중심으로
- 내러티브를 활용한 <영국사회와문화의이해> 수업 사례: <스펜서>와 「피터래빗 이야기」를 중심으로
- 밀턴의 『실낙원』에 나타난 ‘악’의 의미들: 한국 청년 독자들의 사탄 해석
- 리터러시와 민주시민 교육을 위한 『하울의 움직이는 성』 읽기
- 『햄릿』을 경유한 『월 플라워』 텍스트 읽기와 가르치기
- 비판적 문해력 함양을 위한 영어 동화 수업 대학생의 인식 변화 분석
- [단상] 단상 서문
- [단상] 영문과의 미래에 관한 일곱 가지 단상
- [단상] 영어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제언과 진단
- [단상] 이야기는 어떻게 시민을 만드는가?: 리터러시, 시민사회, 그리고 상징생산의 생태적 순환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영미문학교육 제29집 2호 목차
- 기능적 문해력을 넘어서: 2025 가을특집호 내러티브와 영문학/영어교육 서문
- 세 개의 수사로 바라본 구텐베르크의 은하계 - 맥루한의 실(복)낙원, 문해력 탐색과 구원의 신앙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