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victims in media discourse on the trauma of the Sewol ferry disaster
- 발행기관
- 한국사회언어학회
- 저자명
- 김희선(Heeseon Kim)
- 간행물 정보
- 『사회언어학』제33권 3호, 139~169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trauma victims of the Sewol Ferry disaster were selectively represented in the Chosun Ilbo, a major conservative daily newspaper in South Korea. Using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it analyzes 44 news texts collected from 2014 to 2024, focusing on the strategies of naming, grammatical choice, and intertextuality. The findings show that the coverage consistently foregrounded “Danwon High School students” as the central symbol of public grief, while ordinary passengers, divers, rescue workers, and surviving families were often marginalized or depicted only in functional roles. Such discursive practices created implicit hierarchies of suffering in which some victims’ pain was recognized and remembered, while others were backgrounded or forgotten. Moreover, the reports frequently reframed trauma through psychological or medical discourse, reducing it to treatment and recovery, and diverting attention away from questions of structural responsibility. Intertextual links with later disasters, such as the Itaewon crowd crush, further recontextualized Sewol as part of generational trauma and collective memor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rauma recovery is not merely an individual or clinical matter but also shaped by how victims are socially represented and emotionally positioned within public discourse.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비판적 담론분석
3. 연구 대상 및 방법
4. 내용 분석
5. 결론 및 한계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혐오표현 말뭉치 비교 분석: 표적집단을 중심으로
- 한국 사회 ‘번아웃’ 담론의 다의성에 대한 언어정보학적 분석: 신문 기사 프레임별 개념화와 의미 변화를 중심으로
- 혐오 표현 ‘혼모노’에 대한 (사회) 단계적 현상
- 현상학으로 본 생성형 AI와 인간의 의사소통: 30대 여성 학문 연구자의 ChatGPT 사용 경험을 중심으로
- ‘세월호 참사 트라우마’ 언론 보도에 나타난 피해자 재현 양상 연구
- 재한 구화교(舊華僑)의 언어 태도와 자녀 대상 다중언어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비판적 언어감수성 교육의 토대와 교육적 가능성 탐색
- Impact of SNS Contact: Motivation, Intercultural Competence, and Learner Perspectives in KFL and EFL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언어학분야 NEW
- 혐오표현 말뭉치 비교 분석: 표적집단을 중심으로
- 한국 사회 ‘번아웃’ 담론의 다의성에 대한 언어정보학적 분석: 신문 기사 프레임별 개념화와 의미 변화를 중심으로
- 혐오 표현 ‘혼모노’에 대한 (사회) 단계적 현상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