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Dental Hygienists’ Perception of Toward Digital Dental Devices
- 발행기관
- 한국구강보건과학회
- 저자명
- 이혜진(Hye-Jin Lee) 양달님(Dal-Nim Yang)
- 간행물 정보
- 『한국구강보건과학회지』제13권 제4호, 1~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dental hygienists’ toward dental digital devices.
Methods: The subjects were 170 dental hygienists in Seoul, Busan, Daejeon region, South Korea. In total, data obtained from 168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excluding two incomplete ones.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using IBM SPSS version 21.0.
Results: This study compared seven types of perceptions among dental hygienists using digital dental devices,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The dental hygienists were categorized into six general characteristics: age group, gender, residence(geographic location of the clinic), educational level, years of clinical career, and duty organ group(Clinic, Hospital). The study compared the subjects’ perceptions of digital dental devices, based on seven factors: utilization, necessity of adopting new devices, early adoption of new devices, usage methods, usage proficiency, convenience, and effectiveness.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their perceptions about the necessity of adopting new digital dental devices were residence and clinical career group. For perceptions of usage method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 was duty organ group. For perceptions of convenience, it was clinical career group, and for perceptions of effectiveness, it was gender.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causes of the perceptions of dental hygienists toward dental digital devices are multifactorial. Perceptions of new digital dental equipment varied by age, clinical experience, workplace type, and region. Younger and less experienced hygienists, as well as metropolitan residents, showed higher awareness of adoption needs and early introduction. Perceptions of proficiency, convenience, and effectiveness differed by age group and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reflecting current awareness and utilization patterns of digital dental equipment among dental hygienist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구강보건과학회지 제13권 제4호 목차
- 치위생(학)과의 디지털 기반 학습매체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주제범위 문헌고찰
- 치과 방사선학 및 실습 교육에서 VR 매체 활용 전후에 따른 학습 효과
-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학업무기력과 우울 양상이 전공 몰입 및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치위생학과 학생의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자기개념 명확성이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
- 한국 노인의 치아 스케일링이 구강건강 관련 지표에 미치는 영향에서 건강정보이해능력의 매개효과: 2023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활용한 단면조사연구
- 디지털 치과 장비에 대한 치과위생사의 인식도 분석
- 청소년의 불안장애, 건강 관련 행동과 구강 증상의 관련성 제20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자료 활용-성별 비교 중심
- 치위생학과 학생의 학업적 실패내성, 사회적지지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일부지역 치위생학과 학생의 그릿, 긍정적 사고 및 스트레스 대처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성
- 치과 방사선 촬영장비의 고접촉 부위 표면 미생물 오염도 및 정량적 분석
- 부모와 보육교사의 유아 구강건강 정보 이해도 및 교육 인식 비교 연구
- 대전·충청지역 치위생학과 학생의 셀프리더십, 대인관계능력이 학업 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
- 구강건강관련 지표와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에서 건강정보이해능력의 매개효과: 2023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