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escription and Dispensing Duration Policies in Major Countries and Their Implications
- 발행기관
- 대한약학회
- 저자명
- 송인명(Inmyung Song) 신채은(Chaeeun Shin) 김경훈(Kyoung-Hoon Kim) 이혜인(Haine Lee) 류승은(Seungeun Ryoo) 최미영(Miyoung Choi) 김동숙(Dong-Sook Kim)
- 간행물 정보
- 『약학회지』제69권 제5호(2025년), 421~43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While appropriate prescription duration supports adherence, excessive long-term prescriptions can lead to drug waste and an increased risk of adverse effects. In response, many countries have implemented policies that limit prescription durations based on disease and drug characteristics; this study analyzes these trends and their implications. It reviewed English-language publications on prescription duration-related policies and trends using keywords like “prescription duration” in databases such as Google Scholar and PubMed, focusing on major countries including the U.S., U.K., and Australia. These countries are increasingly adopting more flexible or extended prescription durations, particularly for chronic conditions. The U.K. has shifted from recommending 28-day prescriptions to exploring longer durations. In the U.S., the COVID-19 pandemic prompted a relaxation of dispensing restrictions. Notably, Australia has extended its dispensing period to 60 days for certain chronic disease medications, serving as a leading example in distinguishing between prescription and dispensing durations. Advanced refill systems in the U.S., U.K., and parts of Asia have further improved convenience and efficiency through tools such as refill protocols and electronic repeat dispensing. In Korea, frequent prescriptions for mild conditions and a culture of hospital shopping contribute to significant drug waste and the risks associated with long-term prescriptions. To address this—and to improve safety, reduce waste, and enhance treatment outcomes—a phased introduction of reforms, particularly for chronic diseases, should be considered, along with the expanded use of the Drug Utilization Review (DUR) program.
영문 초록
목차
서 론(Introduction)
방 법(Methods)
결 과(Results)
고 찰(Discussion)
결 론(Conclusion)
감사의 말씀(Acknowledgment)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약학회지 제69권 제5호(2025년) 목차
- 주요 외국의 의약품 처방 및 조제기간 관련 제도 및 시사점
- 한국과 미국 임상시험 온라인 정보의 임상시험 대상자 중심 사용성 평가: 예비연구
- Ginseng Berry Extract (SIRTBERRYTM) Enhances Androgen Receptor Expression in a Rat Model of Andropause
- 지역약국 내 칸막이로 분리된 공간에서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환자만족도
- 혈우병 환자의 항체 발생에 따른 경제적 부담
- 고온용융압출법을 이용한 조절방출능을 가진 필라멘트와 그 필라멘트를 이용한 3D 프린팅 정제의 제조 및 평가
- [정오(Erratum)] 국가별 가정정맥영양 제도의 비교 연구 - 한국, 미국, 프랑스, 영국, 독일을 중심으로
- 제1차 불활화 A형간염백신 국가표준품 확립
- 제네릭 제품명에 국제일반명(INN) 사용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기대효과
- 다중흐름모형을 활용한 냉장의약품 유통관리 규제사례 분석
- 국내 의료제품 규제 의사결정에서 환자 선호도 정보 반영을 위한 고려 사항과 과제 - 포커스 그룹 인터뷰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약학회지 제69권 제5호(2025년) 목차
- 주요 외국의 의약품 처방 및 조제기간 관련 제도 및 시사점
- 한국과 미국 임상시험 온라인 정보의 임상시험 대상자 중심 사용성 평가: 예비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