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Effects of Small Class Size on Academic Achievement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Regional Context
- 발행기관
-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 저자명
- 김태규(Taegyu Kim) 엄문영(Moonyoung Eom)
- 간행물 정보
- 『교육재정경제연구』제34권 제3호, 159~191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소규모 학급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2013의 2차년도(초등학교 6학년)와 5차년도(중학교 3학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소규모 학급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엄밀하게 추정하기 위해 경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소규모 학급의 기준으로 학급규모가 20명 이하 또는 22명 이하인 경우를 살펴보았다. 또한, 소규모 학급 효과의 지역 간 차이를 분석해 보기 위해 지역규모(특별시,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와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회귀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규모 학급은 읍면지역에 가장 많이 분포하며, 소속 학생들은 월평균 가구소득, 사교육비 등 개인 및 가정 특성 면에서 전체 평균보다 낮은 수준에 위치해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6학년에서는 전반적으로 소규모 학급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뚜렷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나, 지역규모와의 상호작용 분석에서 22명 이하 학급의 경우 중소도시는 긍정적, 대도시는 부정적 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중학교 3학년에서도 전반적인 평균처치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회귀분석 모형에서 22명 이하 학급에서 학업성취도 향상 효과가 일부 나타났다. 상호작용 분석에서도 22명 이하 학급의 경우 중소도시는 긍정적, 읍면지역에서는 약한 수준의 긍정적 효과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소규모 학급의 효과가 일률적이지 않고 지역적 맥락에 따라 차별적으로 발현될 수 있음을 확인시켜 주며, 현행 법령과 교원정원 산식에 종속되어 있는 학급규모 정책에 지역 특성과 교육환경을 고려한 차별적 접근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또한, 향후 학급규모 감축과 소규모 학급 운영을 통해 맞춤형 교육환경을 조성하고 교육의 질을 제고해 나가야 할 것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small classes on academic achievement using data from the second (6th grade) and fifth (9th grade) waves of the 2013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To more rigorously estimate the causal effects of small classes,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was employed, defining small classes as those with 20 students or fewer or 22 students or fewer. In addition, interaction terms with regional size (metropolitan city, large city, medium-sized city, and rural area) were included to examine regional variations in the effects of small classe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mall classes were most prevalent in rural areas, and students in these classes tended to have lower household income and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than the overall average. Second, for 6th grade students, small classes showed no clear overall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when the threshold was set at 22 students or fewer, interaction analysis revealed positive effects in medium-sized cities and negative effects in large cities. Third, for 9th grade students, the average treatment effec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ough regression models indicated some achievement gains for classes with 22 students or fewer. Interaction analysis also showed positive effects in medium-sized cities and weakly positive effects in rural area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effects of small classes are not uniform but instead vary depending on regional context. Accordingly, policies on class size should move beyond a uniform, student-number-based framework to incorporate regional and educational environmental factors. The results further imply the importance of continued class size reduction and active implementation of small classes to foster tailored learning environments and improve educational qualit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연구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 교육행정학연구
- 교육방법 연구
- 교육재정경제연구
- 교육사회학연구
- 교육문화연구
- 교육재정경제연구
- 국내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 교육재정경제연구
- 상경연구
- 한국교육개발원
- 교육행정학연구
- 아시아교육연구 (Asian Journal of Education)
- 아시아교육연구 (Asian Journal of Education)
- 2018년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자료집
- 아시아교육연구 (Asian Journal of Education)
- 교육사회학연구
- 교육사회학연구
- 교육재정경제연구
- 교육재정경제연구
- 교육기관학회지
- 교육재정경제연구
-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 교육학연구
- Doctoral dissertation,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교육재정경제연구
- 교육평가연구
- 교육재정경제연구
- KEDI 한국교육
- 교육행정학연구
- 한국교육문제연구
- 교육행정학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경영교육연구
- 교육논총
- 한국교원교육연구
- 교육논총
- 교육사회학연구
- Econometrica
-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 Oxford review of education
-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 Education Economics
- Cultural theory: An anthology
-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 Educational 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 Educational 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 British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 The Economic Journal
- Future of children
- Oxford Review of Education
- The American Statistician
-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 Education Economics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