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Reporting Behavior of Mandated Reporters
- 발행기관
-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 저자명
- 조정우(Jeong-Woo Cho) 김현주(Hyeun-Ju Kim) 박미경(Mi-Kyung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제56호, 41~6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동학대 신고의무자들의 아동학대 신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지역 아동학대 신고의무자 25개 직군, 427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아동학대 신고율과 지식 수준은 과거 연구보다 향상되었으나, 정서학대 인식은 타 학대 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고, 직군 간 편차가 확인되었다. 또한, 아동학대 신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신고의무자의 학력, 학대의심아동 발견 경험, 아동학대관련 교육 경험, 제도적 지식, 아동학대 인식, 신고태도 등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학대의심아동 발견 경험, 아동학대관련 교육 경험과 같은 실천적 경험 요인이 높은 변수로 나타났다. 이는 신고의무자의 대응 수준이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음을 보여주지만, 여전히 인식과 지식의 편차가 존재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정서학대 인식 교육 강화, 사례 중심의 실천적 경험 제공, 제도적 지식 보완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reporting behavior of mandated reporters. Data were collected from 427 individuals across 25 professional groups required to report child abuse in Gyeongsangnam-do Province, South Korea.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on the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while overall reporting rates and knowledge levels have improved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recognition of emotional abuse remains low, and significant variations exist across professions. Factors influencing reporting behavior included educational attainment, experience in identifying suspected abuse, participation in child abuse-related training, institutional knowledge, perceptions of abuse, and attitudes toward reporting. Notably, practical experience—such as detecting suspected cases and receiving training—emerged as the strongest predictors of reporting behavio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while the responsiveness of mandated reporters has gradually improved, disparities in awareness and knowledge still exist.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strengthen education on emotional abuse, provide practice-based experiential training, and enhance institutional knowledg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심리상담전공 학부생 직무역량강화 방안: 외상인식기반 케어의 적용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