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Literary Represent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Gasa Chaeransangsagok in Songgyejaprok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저자명
- 최지혜(Ji-hye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70권, 223~25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박응성의 문집인 『송계잡록』에 실려 있는 가사 <채란상사곡>의 문학적 형상화와 그 성격을 검토하고 이를 통해 작품의 가사 문학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 연구이다. <채란상사곡>은 문집에 실려 있는 한시나 시조 작품과는 달리 작가를 박응성으로 확정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는데 이로 인해 작품의 의미와 문학적 가치를 온전히 살펴보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고에서는 이런 문제 의식에 따라 <채란상사곡>의 내용과 작가 문제를 검토하고, 작품이 문집에 수록될 수 있었던 수록 배경을 살핀 뒤 이를 통해 이 작품이 가지는 가사 문학적 의미를 읽어내고자 하였다.
<채란상사곡>은 전체 23행으로 이루어진 짧은 길이의 작품으로, 전제 내용은 임에 대한 절절한 그리움이 여성 화자의 목소리로 표현된 상사가류의 애정 가사이다. <채란상사곡>의 내용은 ‘서사: 이별의 상황 제시 - 본사1: 임에 대한 원망 - 본사2: 상사의 슬픔 - 결사: 그리움의 비극적 심화’로 이루어진 네 개의 단락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작품의 내용을 살펴봤을 때 문집의 편찬자인 박응성이 여성 화자의 목소리를 빌려서 자신의 정서를 드러냈다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박응성의 삶의 모습이나 그가 남긴 문학 작품들과 상당히 괴리된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한미한 삶 속에서도 노래를 통해 삶의 의미를 승화시켜 나갔던 박응성의 삶의 궤적을 통해 볼 때 당시 평해 지역 풍류 자리에서 가기(歌妓) 등을 통해 <채란상사곡>이 향유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일반적인 애정 가사와는 달리 비극적으로 끝맺음을 하는 결말의 특성을 통해 이 작품이 뒤 시기의 <상사별곡>류 애정가사의 초기 형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작품에 정연하게 드러나는 4.4조의 형태적 완성도, 결사의 형식적 특징, 한자어구의 사용을 볼 때 이 작품이 조선 전기 가사와 후기 가사의 특징을 모두 담고 있는 과도기적 성격을 지닌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당시 기녀를 통해 이와 같은 수준의 가사 작품을 향유할 정도로 평해 지역 내의 가사 문학의 수준이 높았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the literary represent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gasa Chaeransangsagok, included in Songgyejaprok, the collected writings of Bak Eung-seong. The aim is to elucidate the work’s literary significance within the tradition of Korean gasa literature. A notable complication in studying Chaeransangsagok is the uncertainty surrounding its authorship; unlike the Chinese poems and sijo also featured in the collection, the work cannot be definitively attributed to Bak Eung-seong. This ambiguity has posed challenges in assessing the text’s meaning and literary value.
In addressing this issue, the study first examines the thematic content and authorship of Chaeransangsagok, followed by an inquiry into the circumstances that may have led to its inclusion in the collection. Through this contextual approach, the paper seeks to interpret the work’s place within the broader corpus of gasa literature. Composed of 23 lines, Chaeransangsagok is a concise lyric expressing the poignant longing of a female speaker for her absent lover. Structurally, the work can be divided into four sections: a narrative introduction outlining the separation, the first thematic section expressing reproach toward the beloved, a second section articulating sorrowful yearning, and a concluding segment in which the speaker’s longing intensifies into tragic despair.
Given the content and emotional tenor of the text, it is difficult to assert that Bak Eung-seong adopted a female persona to convey his own sentiments. The work’s themes and affective stance diverge markedly from those found in his known writings and biographical background. Instead, considering Bak’s modest lifestyle and the aesthetic sensibilities reflected in his oeuvre, it is more plausible that Chaeransangsagok originated within the cultural milieu of Pyeonghae, where such poetic works were likely performed or composed by female entertainers (gisaeng) and enjoyed in local gatherings.
Moreover, the poem’s tragic conclusion distinguishes it from conventional love gasa, suggesting that it may represent an early prototype of the later Sangsabyeolgok subgenre. The work’s formal features—including its consistent 4.4 syllabic meter, distinctive concluding structure, and use of Sino-Korean diction—indicate a transitional position between early and late Joseon-period gasa. These features, alongside its sophisticated composition, further imply a relatively advanced level of literary culture in the Pyeonghae region, particularly as mediated through the performance practices of the time.
목차
1. 들어가며
2. <채란상사곡>의 문학적 형상화
3. 작가 문제 검토를 통해 본 작품의 성격
4. <채란상사곡>의 가사 문학적 의미
5. 나가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 연작의 곽분양 수용 양상과 그 의미
- 강을생본 <허웅애기본풀이>에 나타난 사별 애도 과정과 의미 - 영화 <원더랜드>(2024) 속 모녀 관계와의 비교를 겸하여
- <세경본풀이>의 통사론적 규칙과 서사 의미론
- 경판 <소대성전>의 간행 양상 재구 - 동경외대 소장 ‘30장본’을 중심으로
- 조선후기 승려 권선문의 문체와 설득 전략
- 남성으로 묻힌 열녀절부(烈女節婦) - 〈방한림전〉에서 유교 덕목을 통해 보는 여성성과 남성성의 충돌
- <소현성록> 속 며느리 형상화와 시집살이 양상
- 『송계잡록』수록 가사 <채란상사곡>의 문학적 형상화와 성격 고찰
- 남유용의 회화 감상과 시적 형상화에 나타난 심미 의식
- 뇌과학적 관점에서 본 감정과 고전문학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근대 문학과 목격의 서사 : 이상 「날개」 연구
- 한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현대 사회에서의 재해석 -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 텍스트 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논어(論語)』 연구 동향 분석 - 2000-2023년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 연작의 곽분양 수용 양상과 그 의미
- 강을생본 <허웅애기본풀이>에 나타난 사별 애도 과정과 의미 - 영화 <원더랜드>(2024) 속 모녀 관계와의 비교를 겸하여
- <세경본풀이>의 통사론적 규칙과 서사 의미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