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소세양(蘇世讓)의 사행시(使行詩)에 나타난 몇 가지 양상(樣相)

이용수  3

영문명
Several Aspects Reflected in the Diplomatic Poems of So Seyang
발행기관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저자명
송영숙(Youngsuk Song)
간행물 정보
『순천향 인문과학논총』44권 3호, 41~7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양곡(陽谷) 소세양(蘇世讓)이 1533년(중종 28) 황태자의 탄생을 축하하는 진하사(進賀使)로 오가며 쓴 사행시를 고찰한 것이다. 그의 사행시는 『양곡집(陽谷集)』에 실려 있고, 사행 가는 길에 쓴 130수가 3권 전체에, 돌아오는 길에 쓴 130수가 4권의 일부에 각각 실려 있는데 모두 260수(首)이다. 소세양은 중종 대에 조정에서 관료 생활을 영위하며 여러 학문정책을 주도하고 특히 외교 분야에서 두드러진 활약을 하였으며, 또한 문학에 대한 재능과 자부심을 바탕으로 문단에서 주된 역할을 한 관료 가운데 한 사람으로 문한직(文翰職)의 요직을 두루 거치고 대제학까지 지낸 인물이다. 그의 시문을 고찰하는 일은 중종대의 학문과 문학 전반을 이해하고 당시 명나라와의 관계를 살피는데 있어 중요한 작업이라 여긴다. 이에 본고는 그의 사행시를 모두 다섯 영역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첫째 사행노정(使行路程)의 풍광, 두 번째 사행 길에 겪은 사고와 고충, 셋째 사행 길에서 바라본 이국의 참상과 감회, 넷째 고향 생각과 가족에 대한 그리움 등으로 분류하였다. 다섯째 나머지 시는 기타로 분류하였다. 소세양의 한시를 고찰하면서 사행시를 선택한 것은 『양곡집』에 실려 있는 시 대부분이 관직에서 물러나 고향인 전북 익산금마에 은거하면서 지은 것으로 지난날을 회상하며 짓거나 만년의 일상과 마주하게 되는 자연 등을 읊은 작품인 반면 사행시는 양곡이 48세로 비교적 젊은 데다 왕성하게 활동하던 시기에 지은 것들이어서 그의 시 세계 뿐만 아니라 그의 시대 인식이나 사상까지도 포괄적이고 직접적이며 현장감 있게 고찰할 수 있을 것이라는 소견 때문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diplomatic poems written by Yanggok So Se-yang(蘇世讓, 1486-1562) in 1533 (the 28th year of King Jungjong’s reign) while on a mission to celebrate the birth of the Crown Prince(進賀使). His diplomatic poems are collected in the Yanggokjip(陽谷集). The 130 poems he wrote en route are spread across three volumes, while the 130 he wrote on his return journey are collected in parts of the fourth volume, totaling 260 poems. During the reign of King Jungjong, So Se-yang served as a government official, playing a leading role in scholarly and policy matters,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diplomacy. At the same time, he was a prominent figure in the literary world, recognized for his talent and confidence in poetry. He held a wide range of key posts in the Office of Royal Writings (munhanjik, 文翰職) and ultimately rose to the position of Chief Scholar (daejihak, 大提學). Examining his literary works is crucial for understanding both the scholarship and literature of the Jungjong era and for examin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Ming Dynasty at the time.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his diplomatic poems, dividing them into five categories. First, the poems depict the landscapes encountered along the envoy’s route; second, they describe the accidents and hardships experienced during the journey; third, they express the impressions and reflections on the misery of foreign lands observed along the way; fourth, they convey homesickness and longing for family; and fifth, the remaining poems are classified into miscellaneous themes. The reason this study focuses on So Seyang’s diplomatic poems in examining his Chinese poetry is that, while the majority of the poems in the Yanggokjip were composed after he had retired from office and was living in seclusion in Geumma, Iksan, Jeonbukk, reflecting on the past or portraying the nature of his later years, the diplomatic poems were written when he was forty-eight years old, still relatively young and actively engaged in public life. This is because it is believed that we will be able to comprehensively, directly, and realistically examine not only his poetic world but also his perception and thoughts of the times.

목차

Ⅰ. 머리말
Ⅱ. 소세양의 생애와 외교활동
Ⅲ. 사행시에 나타난 몇 가지 양상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영숙(Youngsuk Song). (2025).소세양(蘇世讓)의 사행시(使行詩)에 나타난 몇 가지 양상(樣相).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44 (3), 41-71

MLA

송영숙(Youngsuk Song). "소세양(蘇世讓)의 사행시(使行詩)에 나타난 몇 가지 양상(樣相)."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44.3(2025): 41-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