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Manifestations of Mathematics Anxiety and Coping Strategies Among Students in a Science School for the Gifted
- 발행기관
-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 저자명
- 김근배(Keunbae Kim) 유익수(Icsoo Yoo) 조영민(Youngmin Cho)
- 간행물 정보
- 『과학영재교육』제17권 제2호, 333~34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이 수학학습 과정에서경험하는 수학불안의 구체적 양상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학생들의 대응전략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과학영재학교에 재학 중인 1, 2 학년 학생 8명이며 사전 질문지와 반구조화된 면담 및연구자의 관찰과 함께 반복 비교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의 수학불안은 수업상황, 평가상황, 자기주도 탐구활동이라는 세 가지 주요 맥락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수업상황에서는 빠른 진도와 복잡한 증명과정에서 비롯된 이해 부족 및 오개념 형성에 따른불안이 나타났고 평가상황에서는 시험시간의 압박, 문제 유형 예측실패, 서술형 평가의 감점 가능성에 따른불안이 구체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주도 탐구활동에서는 주제선정과 연구자료 해석의 어려움으로 인한불확실성과 막막함으로부터 발생하는 수학불안이 나타났다. 학생들은 이러한 수학불안에 대해 철저한 예습과복습, 협력적 학습, 전문가 자문 활용, 자기설명 전략등 다양한 방식으로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었다. 본연구는 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수학불안이 개인의 인지적·정서적 특성과 학습환경과의 상호작용으로 복합적으로 구성된 교육적 현상임을 밝히며 수학불안을 예방하고 완화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시사점을 제안하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pecific manifestations of mathematics anxiety experienced by students attending science schools for the gifted, and their coping strategies. Participants were eight first-year and second-year students at a science school for the gift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reliminary questionnaires,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researcher observations, analyzed via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Results indicated that mathematics anxiety was prominently observed in three contexts: classroom instruction, assessments, and self-directed inquiry activities. In classroom situations, anxiety arose from rapid instructional pacing and misconceptions from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complex proofs. Assessment-related anxiety stemmed primarily from time constraints, unpredictable question types, and potential deductions in descriptive items. Anxiety in self-directed inquiry emerged from uncertainty in selecting topics and interpreting data. Students actively employed various coping strategies, including rigorous preparation and review, collaborative learning, expert consultation, and self-explanation techniques. This study highlights mathematics anxiety among gifted science school students as a multifaceted phenomenon influenced by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 cognitive-emotional traits and educational contexts, offering practical implications for its prevention and mitig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코스페이시스와 메이키메이키를 활용한 인터랙티브 VR 시스템
- 초등 영재 표준 수학 영역 교육과정 개발
- 초등 영재 표준 공통소양 영역 교육과정 개발
- 초등 영재 표준 수·과융합 영역 교육과정 개발
- 초등 영재 표준 교육과정 총론 개발
- 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이 경험하는 수학불안의 양상과 극복전략에 대한 사례연구
-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사례 분석을 통한 이공계 진로 연계 사사교육 수업 모델 개발
- 초등 영재 표준 융합정보영역 교육과정 개발
- 초등 영재 학생을 위한 과학과 표준 교육과정 개발
- 생성형 AI(LMM) 보조 시뮬레이션을 통한 다인 죄수의 딜레마에서 가장자리 표시와 초기 전략 분포의 ESS 형성 효과
- 볼록 사각형의 Lemoine Inellipse에 대한 연구
- Siebeck-Marden-Northshield 정리의 n차 다항식에 대한 일반화 연구
- 볼록 n각형의 방접 타원에 대한 연구
- 볼록 n각형의 나폴레옹의 정리에 대한 연구
- Ptecticus tenebrifer의 Life Cycle에 따른 생물학적 활용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학교자율시간에 대한 초·중학교 교사의 인식분석
-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사고 개발 가능성: 영화 ‘미키17’과 봉준호감독의 인간 이해와 창작 철학을 중심으로
- 조직공정성이 유아교사의 조직몰입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직렬다중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