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a Mentorship-Based Instructional Model Connecting STEM Career Exploration: A Case Study of University-Affiliated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s
- 발행기관
-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 저자명
- 안서현(Seohyun Ahn)
- 간행물 정보
- 『과학영재교육』제17권 제2호, 315~33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운영되고 있는사사과정이 학생들의 이공계 진로 탐색과 진입 가능성 제고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분야별 특성을 반영한수업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수학융합, 정보융합, 물리융합, 생물융합 네 개 분야의사사과정 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공통적으로 적용가능한 4단계 기본 수업 모델(① 주제 탐색 및 문제 정의 → ② 연구 설계 및 실행 → ③ 결과 분석 및 산출물 제작 → ④ 발표 및 피드백)을 도출하였다. 나아가각 분야의 고유한 교육 목표와 교수학습 활동을 반영한수업 모델을 제안하였다. 수학융합 분야는 문제 탐색과알고리즘 설계, 구현 과정을 중심으로 창의적 산출물제작과 협업 기반 보고서 작성을 강조하였고, 정보융합분야는 AI 모델 설계, 데이터 분석, 디지털 플랫폼 활용및 성능 비교를 통해 문제 해결 역량을 함양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물리융합 분야는 실험 중심의 수업 구조를 통해 실험 설계와 물리적 해석을 연계하였으며, 생물융합 분야는 환경 및 생명 관련 사회적 이슈를 주제로 실험과 분석 활동을 수행하고 사회적 맥락과 연결된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수업 모델은 단순한 융합교육을 넘어, 학생이 이공계 분야의 진로를 탐색하고 진입 가능성을 모색할 수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이는 향후 진로 중심 영재교육의방향성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instructional models for the mentorship-based research programs offered by university-affiliated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s, with a focus on enhancing students’ exploration of and readiness for STEM careers. To achieve this, we analyzed four domain-specific programs—mathematics convergence, information convergence, physics convergence, and biology convergence—and derived a four-phase common instructional model: (1) topic exploration and problem definition, (2) research design and implementation, (3) data analysis and product creation, and (4) presentation and feedback. Based on this, subject-specific models were proposed. The mathematics model emphasizes creative output and collaboration through problem-solving and algorithm design. The information model focuses on AI model development, digital tools, and performance comparison. The physics model centers on experimental design and interpretation using sensors and equipment. The biology model integrates experiments on social issues like environment and health, connecting findings to real-world contexts. These results offer practical guidelines for structured and quality-driven Mentorship program design and contribute to future gifted education policy and curriculum development.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코스페이시스와 메이키메이키를 활용한 인터랙티브 VR 시스템
- 초등 영재 표준 수학 영역 교육과정 개발
- 초등 영재 표준 공통소양 영역 교육과정 개발
- 초등 영재 표준 수·과융합 영역 교육과정 개발
- 초등 영재 표준 교육과정 총론 개발
- 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이 경험하는 수학불안의 양상과 극복전략에 대한 사례연구
-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사례 분석을 통한 이공계 진로 연계 사사교육 수업 모델 개발
- 초등 영재 표준 융합정보영역 교육과정 개발
- 초등 영재 학생을 위한 과학과 표준 교육과정 개발
- 생성형 AI(LMM) 보조 시뮬레이션을 통한 다인 죄수의 딜레마에서 가장자리 표시와 초기 전략 분포의 ESS 형성 효과
- 볼록 사각형의 Lemoine Inellipse에 대한 연구
- Siebeck-Marden-Northshield 정리의 n차 다항식에 대한 일반화 연구
- 볼록 n각형의 방접 타원에 대한 연구
- 볼록 n각형의 나폴레옹의 정리에 대한 연구
- Ptecticus tenebrifer의 Life Cycle에 따른 생물학적 활용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사고 개발 가능성: 영화 ‘미키17’과 봉준호감독의 인간 이해와 창작 철학을 중심으로
- 조직공정성이 유아교사의 조직몰입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직렬다중매개효과
- 사무량심에 기반한 유아기 부모 양육 경험의 해석현상학적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