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the Standardized Science Curriculum for Elementary Gifted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 저자명
- 이가람(Garam Lee) 이용민(Yongmin Lee) 박일우(Il-Woo Park)
- 간행물 정보
- 『과학영재교육』제17권 제2호, 295~30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S 교육청 초등과학 영재 교육 기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초등 영재 표준 과학 영역의 교육과정을체계적으로 개발함으로써 과학 영재교육의 질 제고에기여하고 과학영재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지원하고자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 영재 표준 과학 영역교육과정은 핵심역량, 내용 체계,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연간 교육과정 예시와 프로그램 예시를 포함한다. 국가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갖추되 영재 교육과정만의차별성을 드러낼 수 있도록 영재의 특성을 반영한 교육방법과 심화된 교육 내용을 반영하여 성취기준을 구성하였으며, 학년 간 연계성을 갖추되 중복을 최소화하도록 학년별로 영재교육 내용 체계를 제시하였다.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대한 과학영재 교사들의전문성 신장을 지원하기 위해 성취 기준 해설과 탐구활동 예시, 연간 교육과정 예시, 프로그램 예시 등을 제시하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준과 방침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초등 영재 표준 과학 영역 교육과정은 과학영재 교사들이 교육과정 운영 및 프로그램 개발 시 도움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개발한 프로그램들을함께 공유하고 협력하는 교직 문화 형성에도 도움을 줄수 있을 것이다. 또한 S 교육청 중등 영재 표준 과학 영역 교육과정 개발 및 타 시도 교육청의 영재 교육과정개발에도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systematically develop a standardized science curriculum for elementary gifted students that can be utilized in elementary science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of the S Office of Education, thereby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science gifted education and supporting the enhancement of the professionalism of science gifted teachers. The standardized science curriculum for elementary gifted students developed in this study includes core competencies, content system, achievement standards and achievement levels, as well as annual curriculum examples and program examples. In order to maintain the connection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while revealing the uniqueness of the gifted education curriculum, the achievement standards were composed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and in-depth educational content, and the gifted education content system was presented by grade level to minimize duplication while maintaining the connection between grade levels. In order to support the enhancement of the professionalism of science gifted teachers i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gifted education programs, the achievement standards explanation, examples of inquiry activities, examples of annual curriculum, and examples of programs were presented to provide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program development. The elementary gifted standardized science curriculum can be used as a reference material for science gifted teachers when operating the curriculum and developing programs, and it can also help form a teaching culture in which developed programs are shared and collaborated. It can also be used as a reference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the S Office of Education’s secondary gifted standard science curriculum and the development of gifted education curricula in other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절차 및 방법
Ⅲ. 초등 영재 표준 과학 영역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
Ⅳ. 초등 영재 표준 과학 영역 교육과정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코스페이시스와 메이키메이키를 활용한 인터랙티브 VR 시스템
- 초등 영재 표준 수학 영역 교육과정 개발
- 초등 영재 표준 공통소양 영역 교육과정 개발
- 초등 영재 표준 수·과융합 영역 교육과정 개발
- 초등 영재 표준 교육과정 총론 개발
- 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이 경험하는 수학불안의 양상과 극복전략에 대한 사례연구
-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사례 분석을 통한 이공계 진로 연계 사사교육 수업 모델 개발
- 초등 영재 표준 융합정보영역 교육과정 개발
- 초등 영재 학생을 위한 과학과 표준 교육과정 개발
- 생성형 AI(LMM) 보조 시뮬레이션을 통한 다인 죄수의 딜레마에서 가장자리 표시와 초기 전략 분포의 ESS 형성 효과
- 볼록 사각형의 Lemoine Inellipse에 대한 연구
- Siebeck-Marden-Northshield 정리의 n차 다항식에 대한 일반화 연구
- 볼록 n각형의 방접 타원에 대한 연구
- 볼록 n각형의 나폴레옹의 정리에 대한 연구
- Ptecticus tenebrifer의 Life Cycle에 따른 생물학적 활용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학교자율시간에 대한 초·중학교 교사의 인식분석
-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사고 개발 가능성: 영화 ‘미키17’과 봉준호감독의 인간 이해와 창작 철학을 중심으로
- 조직공정성이 유아교사의 조직몰입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직렬다중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