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Hotel Review in Jeju Island Using a Neural Topic Model
- 발행기관
- 글로벌경영학회
- 저자명
- 오주희(Juhee Oh) 니잠 탄지나(Nizam, Tanzina) 백종하(Jongha Baek) 김찬묵(Chanmook Kim) 김성용(Seongyong Kim)
- 간행물 정보
- 『글로벌경영학회지』제22권 제4호, 86~99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제주도는 국내 대표적인 관광지로, 연간 1,300만명 이상의 관광객이 다양한 목적으로 방문하고 있으며, 각기 다른 필요에 따라 숙소를 정한다. 숙박업소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온라인 리뷰가 이용되고 있으나, 텍스트 자료의 특성상 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텍스트 정보를 분석하고 잠재된 주제를 파악하기 위해 토픽모형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는 호텔리뷰 분석에도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의 경우 특정 사이트의 전체 리뷰를 분석하여 전반적인 여행 만족도와 관련된 요인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기존 연구에서 이용된 토픽모형은 텍스트 이외 외부정보를 반영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호텔리뷰에 텍스트와 더불어 제공되는 호텔명을 활용하여 제주지역 호텔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한다. 아고다(Agoda) 웹사이트를 통해 제주지역 12개 호텔의 리뷰를 수집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외부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신경망 토픽모형인 Scholar(sparse contextual hidden and observed language autoencoder) 모형을 이용하였다. Scholar 모형의 외부정보로 호텔명을 설정함으로써, 잠재주제뿐만 아니라 호텔별 특징 역시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여행객의 호텔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호텔의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Jeju Island is one of South Korea’s most popular tourist destinations, attracting over 13 million visitors annually for various purposes. Depending on their individual needs, visitors choose different types of accommodations. Although online reviews are commonly used to obtain information about lodging facilities, analyzing such text-based data poses challenges due to its unstructured nature. Topic modeling has been widely used to analyze textual information and uncover latent themes, and it has also been applied in hotel review analysis. However, most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analyzing the overall reviews from a specific website to identify general factors related to travel satisfaction. Moreover, the topic models used in these studies are limited in that they cannot incorporate external information beyond the text itself.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hotels in the Jeju region by utilizing hotel names provided alongside review texts. Review data for 12 hotels in Jeju Island were collected from the Agoda website. For analysis, we employed the neural topic model Scholar (Sparse Contextual Hidden and Observed Language Autoencoder), which is capable of incorporating external covariates. By including hotel names as external information in the Scholar model, we were able to identify not only latent topics but also hotel-specific characteristics. This analysis is expected to support travelers in selecting accommodations an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service quality of hotels.
목차
Ⅰ. 서론
Ⅱ. 제주지역 호텔리뷰 데이터
Ⅲ. Scholar model
Ⅳ. 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글로벌경영학회지
- 글로벌경영학회지.
-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호텔리조트연구
- 관광레저연구
- 글로벌경영학회지
- 지식경영연구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
-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 arXiv preprint
- Transactions of the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
- Tourism management
- Machine learning
- arXiv preprint
- I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
- In Human language technologies: The 2010 annual conference of the North American chapter of the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 arXiv preprint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집단적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복수노조가 미치는 조절 효과의 시사점
- 리더-구성원 간 목표상호의존성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몰입과 창의적행동,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번트리더십의 조절효과
- 잡크래프팅과 직무소진의 관계: 접근·회피 잡크래프팅의 상호작용과 경력단계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