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라 첨성대의 신궁 제장론 독법과 연오랑세오녀 설화의 개기일식 경험신화론

이용수  3

영문명
The Shrine Theory of the Sin-gung Palace of Silla Cheomseongdae and the Empirical Myth of the Total Solar Eclipse in the Tale of Yeonorang-Seonyeo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김일권(Ilgwon Kim)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32號, 311~350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천문·신화·제의 삼각 접점의 통합 방법론을 통해 신라사에서 천문학 관련성을 띠는 첨성대와 일월신화(연오랑·세오녀)의 두 주제에 대한 새로운 연구이다. 삼국시대 왕경 발생의 일식기록과신화학을 교차 분석하면, 2세기 아달라왕대 연오랑·세오녀 설화가 단순한 허구가 아니라 신라 왕경에서 발생한 첫 개기일식(158.7.13일, 음5.29갑술회)의 파천황적 경험이 일월광명 복원신화로 꾸려져1천년이 지나도록 『삼국유사』에까지 전승 채록된 집단기억의 서사담이라 분석되었다. 그 기록 시기도1년 차이를 보이나 유년 4년(158)을 즉위 4년으로 오해 전승한 정도에 불과하여 놀라운 기록 정확성으로 고찰되었다. 따라서 천문학과 신화학이 만나는 새로운 현장으로서 연오랑·세오녀 설화를 첫 개기일식의 천변경험 신화론으로 조망하였다. 다음 신라 천문대로 그간 널리 알려진 첨성대가 실상은 신라 역년의 절반인 후반기 450년간(487.2~ 935.12)을 신라 최고 국가제사이자 국왕 즉위례로 전개되었던 신궁례의 제장이었을 것이라는 새로운독법을 제시하였다. 이는 서로 이질적인 의례와 천문을 결합시키면서 가능해진 새로운 해석이다. 그첫 단서로 ‘신궁원(神宮園)’(843.7) 표현을 통해 신궁이 넓은 원유 공간에 설치된 것을 알려주고, 이를소지왕 9년(487.2) 창립의 신궁 위치가 시조 초생처/탄강지 나을로 기록된 것과 연관하면, 시림(현재계림)의 넓은 들판에 우뚝 솟은 첨성대가 가장 적격이고 ‘나을 신궁원’ 표명과도 부합하는 경관 조건에의거한다. 다음 <문무왕릉비>(682)에 천궁에 살다가 지상 선국토(仙國土)로 하강하여 신라 나라를 조판하였다는 ‘15대조 성한왕’ 건국신화가 기록되었는데, 그 15대조가 ‘단순왕력 세대법’으로 산정하면첫 김씨왕 미추왕으로 비정되고, 거듭 <김인문비>(694)에 ‘태조 한왕(漢王)’, <흥덕왕릉비편>(836)에‘태조 성한(星漢)’으로 말하여 그 김성시조 미추왕이 시봉군주 태조이자 천궁의 은하수 성한왕임을 시준하였다. 이를 통해 신의 궁전이란 뜻의 신궁으로 특이하게 작명된 이유가 혁거세 건국신화와는 또다른은하수왕 미추왕의 제2 건국신화가 수립된 것이라 해석되고, 그 은하수가 지상의 하늘우물로 흘러내린다는 하강 신화 모티프가 현재 우리가 보는 우물형 첨성대 조형물로 구현된 것이라 분석되었다. 이런궁전 형태 신궁은 고대 한중일 중 처음 등장한 국가 제장이란 점에서 제단이나 사당 형식의 유교식 제사가 아니라 궁천례 형식의 신라식 하늘 제사로 이해되었다. 이로써 첫 김씨왕 미추왕이 은하수 천궁에살던 성한왕(은하수왕)이었다가 하늘우물 형상의 신궁(첨성대)을 통해 지상 선국토(仙岳)로 하강하여 김씨 신라를 개창하였다는 도교천문신화적 미추왕 건국신화가 종합된다. 이같은 신궁례를 의례요소로 재구하면, 천궁 성한신을 주신으로 시조대왕 태조 미추 성한왕을 배신(配神)으로 삼아, 나을 첨성대 신궁제장에서 신년 세수(상달/정월) 시기에 국왕 즉위를 성한신에 고하는 국가제천례 성격이라 고찰되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is a new study on two subjects related to astronomy in the history of Silla, Cheomseongdae and the myth of the sun and moon, through an integrated methodology of the triangular intersection of astronomy, mythology, and ritual. When cross-analyzing the records of eclipses and mythology, it was analyzed that the tale of Yeonorang-Seonyeo from the reign of King Adalla in the 2nd century was not a simple fiction, but a narrative that was passed down for a thousand years in the Samguk Yusa, as a myth of the restoration of the light of the sun and moon, based on the amazing experience of the first total solar eclipse (158.7.13) that occurred in the capital of Silla. In short, the tale of Yeonorang-Seonyeo was viewed as a new site where astronomy and mythology meet, based on the empirical mythology of the first total solar eclipse. Next, a new interpretation is presented that Cheomseongdae, known as the Silla astronomical observatory, was actually the ceremonial site of Shingung ritual, the highest state ritual and coronation ceremony of Silla for the latter half of the 450 years (487-935). The first clue is the expression ‘Shingungwon’ (843.7), which indicates that the Shingung, the palace of the gods, was installed in a wide plain space. If this is connected to the fact that the location of the Shingung founded in the 9th year of King Soji’s reign (487.2) is recorded as ‘Naeul’, the birthplace of the founder, it is based on the landscape condition that Cheomseongdae, towering over the wide fields of Primeval forest (present-day Gyerim), is the most suitable. Next, in the (682), the foundation myth of the ‘15th ancestor Seonghanwang’ who lived in the sky palace and came down to the Land of the Immortals to establish the country of Silla is recorded. If the 15th ancestor is calculated using the ‘simple royal lineage generation method,’ he is identified as the first Kim king, Michuwang. He is repeatedly recorded as ‘Taejo Hanwang’ in the (694) and ‘Taejo Seonghan’ in the (836), indicating that the first ancestor of the Kim family, Michuwang, was the lord Taejo and the king of the Milky Way in the sky, Seonghanwang. Through this, the reason it was uniquely named Singung, meaning the palace of the gods, is interpreted as the establishment of the second foundation myth of Michuwang, the king of the Milky Way,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oundation myth of Hyeokgeose, and it is analyzed that the motif of the myth of the descent that the Milky Way flows down to the sky well on earth was realized in the well-shaped Cheomseongdae structure. This story is not a Confucian-style shrine ritual, but a Silla-style heavenly ritual in the palace format, a type of myth that combines Taoism and astronomy, and it was considered to be a national ritual of New Year's washing to report the king's enthronement to the god of Seonghan.

목차

Ⅰ. 서론
Ⅱ. 연오세오 일월신화의 개기일식 경험신화론 제기
Ⅲ. 신라 3대 국가제사와 신궁의 즉위 신년 고천례 성격
Ⅳ. 나을 신궁원의 공간성과 첨성대의 신궁 제장론독법 제기
Ⅴ. 신궁의 주신 해석 문제: 성한왕 건국신화론과 첨성대의 은하수 하늘우물 궁전 형상화
Ⅵ. 결론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일권(Ilgwon Kim). (2025).신라 첨성대의 신궁 제장론 독법과 연오랑세오녀 설화의 개기일식 경험신화론. 백산학보, (), 311-350

MLA

김일권(Ilgwon Kim). "신라 첨성대의 신궁 제장론 독법과 연오랑세오녀 설화의 개기일식 경험신화론." 백산학보, (2025): 311-3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