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rug Issues in Korean Society - News Data Analysis from 2008 to 2024 and Policy Implications-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김선영(Sun Yo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21 No.4, 139~15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부터 2024년까지 한국 사회의 마약 이슈가 뉴스 기사에서 어떻게 다뤄졌는지를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마약 대응을 위한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자료는 빅카인즈(BigKinds)에서 제공하는 국내 주요 30개 언론사의 마약 관련 기사 총 32,472건이며, TF-IDF 빈도 분석과 잠재 디리클레 할당(LDA) 토픽 모델링을 통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사회에서 마약 이슈에 대한 언론 보도는 범죄 중심의 접근에 크게 편향되어 있었으며, 치료 및 예방 중심의 접근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마약 확산을 억제하기 위한 형사적 단속을 지속적으로 강화하는 한편, 치료와 재활을 중심으로 한 사회적·정책적 접근을 병행할 것을 제안한다. 더불어 공중보건 관점에서의 예방 교육 강화, 국제 마약 범죄 대응을 위한 다중심·다층적 협력 거버넌스 구축, 예방 및 치료 중심의 언론 보도 프레임 강화 등을 정책적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rtrayal of drug-related issues in Korean society as reflected in news articles from 2008—following the global financial crisis—through 2024, employing big data analysis methods. The dataset consisted of 32,472 drug-related articles from 30 major Korean media outlets, provided by BigKinds, and was analyzed using TF-IDF frequency analysis and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topic modeling.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policy directions, revealing that Korean media coverage of drug issues has been predominantly oriented toward criminal justice approaches, with relatively limited attention given to treatment and prevention strategies. Accordingly, the study recommends the continued strengthening of criminal law enforcement to curb the proliferation of drugs, while simultaneously promoting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through integrated social and policy-based initiatives. Furthermore, it advocates for the enhancement of preventive education through public health frameworks, the establishment of multi-centered and multi-layered cooperative governance in response to international drug crimes, and a shift in media focus toward prevention and treatment.
목차
Ⅰ. 들어가는 글
Ⅱ. 문헌 연구
Ⅲ. 자료수집 및 분석 방법
Ⅳ. 분석 결과 및 해석, 그리고 함의
Ⅴ. 마무리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제21권 제4호 목차
- 한신·아와지 지진에 대한 한국사회의 인식 및 영향
- 정신장애인 가족의 가족 건강성과 우울 관계 - 장애수용의 매개효과
- 청년의 사회적 불안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 아노미의 매개효과
- 뷰티어드바이저의 인지적 유연성과 팬데믹 스트레스와의 관계 연구
- 비행형 학교 밖 청소년의 흡연 및 금연 경험
- 행정학 분야 리질리언스 연구 동향 및 조직 리질리언스에 대한 시사점 고찰
- 육군항공 조종사의 안전문화가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 빅데이터를 통해 본 한국 사회의 마약 이슈: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언론 보도와 정책적 함의
- 기업의 탄소생산성 결정 요인 분석: 한국의 배출권 거래제 도입 이후
- 중요도-구축용이성 분석 기반 중소 제조기업 사업연속성계획 모델 개발
- 산불무인감시카메라의 가시권 분석에 기반한 최적 위치 선정 방법 고찰 - 김천시 사례 연구
- 프로세스 마이닝을 활용한 지방자치단체 재난관리 프로세스 분석: 풍수해 대응 사례를 중심으로
- 병원 간호사의 피로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주관적 건강상태의 매개효과
- 다집단 분석을 통한 가족의 사회적 지지가 무망감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음주,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40∼50대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