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집단 분석을 통한 가족의 사회적 지지가 무망감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음주,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40∼50대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The Impact of Family Social Support on Hopelessness and Suicidal Ideation through Multi-Group Analysis - Mediating Effects of Drinking and Depression among Middle-Aged Men in Their 40s and 50s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허보연(Bo Yeun Huh) 강선경(Sun Kyung Kang) 서상형(Sang Hyeong Seo)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21 No.4, 105~11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40~50대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무망감, 음주, 우울, 자살생각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나아가 잠재변수들의 경로가 가족의 사회적 지지의 수준에 따라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에 참여한 중년 남성 551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한 결과, 첫째, 무망감, 음주, 우울은 자살생각을 유의미하게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망감은 음주 와 우울의 경로를 거쳐 순차적 매개 효과를 통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쳤으며, 가족의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 정보적 지지의 수준에 따라 자살생각의 집단 간 차이는 유의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중년 남성이 자살생각에 이르는 경로를 구체적으로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이를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가족의 사회적 지지 중에서 정보적 지지를 높이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가족 구성원 간 정보 교류가 선순환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hopelessness, drinking,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middle-aged men and the further explored whether the pathways of the latent variables are affected differently by the level of family social suppor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based on 551 who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and show this: First, hopelessness, drinking, and depression increased suicidal ideation significantly. Second, hopelessness increased suicidal ideation through a path of drinking and depression through a sequential mediation effect.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suicidal ideation by the level of informational support in family. These results are interest in that they provided a specific exploration of information support among family social support should be taken to alleviate suicidal ideation.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programmes should be developed to help create a positive cycle of information exchange among family memb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분석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Acknowledgement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제21권 제4호 목차
- 한신·아와지 지진에 대한 한국사회의 인식 및 영향
- 정신장애인 가족의 가족 건강성과 우울 관계 - 장애수용의 매개효과
- 청년의 사회적 불안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 아노미의 매개효과
- 뷰티어드바이저의 인지적 유연성과 팬데믹 스트레스와의 관계 연구
- 비행형 학교 밖 청소년의 흡연 및 금연 경험
- 행정학 분야 리질리언스 연구 동향 및 조직 리질리언스에 대한 시사점 고찰
- 육군항공 조종사의 안전문화가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 빅데이터를 통해 본 한국 사회의 마약 이슈: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언론 보도와 정책적 함의
- 기업의 탄소생산성 결정 요인 분석: 한국의 배출권 거래제 도입 이후
- 중요도-구축용이성 분석 기반 중소 제조기업 사업연속성계획 모델 개발
- 산불무인감시카메라의 가시권 분석에 기반한 최적 위치 선정 방법 고찰 - 김천시 사례 연구
- 프로세스 마이닝을 활용한 지방자치단체 재난관리 프로세스 분석: 풍수해 대응 사례를 중심으로
- 병원 간호사의 피로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주관적 건강상태의 매개효과
- 다집단 분석을 통한 가족의 사회적 지지가 무망감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음주,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40∼50대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