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earnings adjustments on environmental accounting disclosures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경영연구원
- 저자명
- 배기수(Khee-su Bae)
- 간행물 정보
- 『경영과 사례연구』제47권 제2호, 103~12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기업의 이익 조정은 회계 정보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환경회계정보공시는 비재무적 지표로서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수준을 평가하는 데 매우 중요하여 이익 조정의 동기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계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2008년부터 2024년까지 중국 화학원료 및 화학제품 제조업 기업 1,550개 표본을 대상으로 이익 조정과 환경회계정보 공시 간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이익 조정과 환경회계정보 공시를 변수로 설정하고 다변량 회귀 분석을 수행했다.
분석 결과, 이익 조정은 환경회계정보 공시에 5% 유의수준에서 유의미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이 이익 조정을 많이 할수록 환경회계정보를 더 많이 공시하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즉, 이익 조정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반발 등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기업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유지할 수 있도록 좋은 환경 정보를 선택적으로 더 많이 공시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환경회계정보의 본질을 더 깊이 이해하고, 기업의 회계정보공시를 효과적으로 감독함으로써 정보 이용자에게 더 개방적이고 투명한 회계정보를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Corporate earnings adjustments affect the qua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Although environmental accounting disclosures are non-financial indicators that are crucial for assessing the level of sustainability management, environmental costs can be a motivation for earnings adjustments because they impose additional costs on profits.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arnings adjustments and environmental accounting disclosures by selecting a sample of 1,550 Chinese chemical raw materials and chemical products manufacturing firms from 2008 to 2024 and examining their environmental accounting disclosures.
The variables used in this analysis are profit adjustment and environmental accounting disclosure, which are proxies for corporate transparency selected based on a review of prior research. The results of the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profit adjustment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nvironmental accounting disclosure at the 5% level. This means that the more a firm adjusts its earnings, the more it discloses environmental accounting information, i.e., firms selectively disclose more positive environmental information using earnings adjustments to maintain a good imag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environmental accounting information and to the supervision of firms' accounting information disclosure to provide more open and transparent accounting information to information use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및 가설 설정
Ⅲ. 연구 설계
Ⅳ. 실증분석 결과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교방문화연구 5권 3호 목차
- 근대 기생제도의 시작 ‘한성기생조합소’의 설립과정과 인가(認可)일에 관한 연구 - 일본인 경찰들의 기록(1908~1910년 일제 통감부 경찰문서)을 중심으로
- 한반도 최초 민간 전문 여성예술인 단체 ‘한성기생조합소’의 설립과정과 인가(認可)일에 관한 연구 - 조선인들의 기록(대한제국기 발행 8종의 『근대신문』)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