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patial Disparities in Educational Opportunity and Social Mobility: Focusing on OECD Countries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정책학회
- 저자명
- 정재훈(Jaehun Jung) 박사유(Sau Park)
- 간행물 정보
- 『부동산정책연구』제26집 제2호, 123~13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도시 공간 내 주거와 교육 환경 간의 상호작용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상호작용이 사회적 불평등에 미치는 함의를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OECD 국가를 대상으로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 데이터를 활용하여, 위계선형모형(HLM)을 통해 국가, 학교, 개인 수준의 요인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HLM의 분석결과, 대한민국에서는 학교의 소재지보다 학생선발제도의 방식이 학업성취도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성적 중심의 선발은 성취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거주지에 기반한 선발은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사립학교가 공립학교보다 성취도에 유리했으며, 교사 1인당 학생 수가 많을수록 성취도가 높았는데, 이는 우수 학생의 집중현상으로 나타난다. 다양한 교과 활동이 이루어지는 학교일수록 학생의 성취도가 높았고, 부정적 학생 행동은 성취도에 악영향을 주었다. 학생 개인의 차원에서는 부모의 기대 교육 수준이 높은 경우 성취도가 높았다. 방과후 공부 시간이 많을수록 성취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고, 학교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부모의 정서적 지원 역시 성취도 향상에 기여했다. 국가 간 비교에서는 가정의 사회경제적 수준이 학업 성취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으며, 대도시에 위치한 학교일수록 성취도가 높았다. 반면, 거주지 기반 선발이 성취도에 부정적 영향을 준 점은 지역 간 교육격차를 시사한다. 국가 수준의 교육 불평등이 클수록 성취도는 낮아졌으며, 교육 양극화는 하위 집단의 확대와 사회적 이동의 제약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housing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in urban space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explore the implications of this interaction for social inequality. Using the PISA(Program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data for OECD countries, we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country-, school-, and individual-level factors on academic achievement using HLMs(Hierarchical Linear Models). The results of the HLM analysis showed that in South Korea, the way schools are selected has a stronger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than the location of the school. Performance-based selec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achievement, while residence-based selection had a positive effect. Private schools favored achievement over public schools, and higher student-teacher ratio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achievement, reflecting the concentration of high-performing students. Schools with a wide range of co-curricular activitie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student achievement, and negative student behavior was associated with lower achievement. At the individual student level, achievement was higher for males, home language environment, and parental educational expectations. More time spent studying after school had a positive impact on achievement, while positive attitudes toward school and parental emotional support also contributed to improved achievement. In cross-country comparisons, the socioeconomic level of the famil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with schools located in larger cities having higher achievement. On the other hand, residence-based selection had a negative impact on achievement, suggesting regional disparities in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greater the educational inequality at the national level, the lower the achievement, and that educational polarization can lead to the expansion of subgroups and constraints on social mobil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 및 선행연구
Ⅲ. 연구설계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동산정책연구 제26집 제2호 목차
- 저출생 현상의 미시적 공간 분포와 소지역 영향요인 : 전국 읍면동 수준의 다중스케일 지리가중회귀(MGWR) 분석
- 전세수급 결정요인 및 기여도 분석: 임대차 2법 도입에 따른 시장 구조 변화를 중심으로
- 공동주택 단지의 녹색건축인증(G-SEED) 여부가 실거래가에 미치는 영향
- 지역자원 기반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구성요소 및 중요도 분석에 관한 연구
- 케이블TV 부동산정보의 신뢰도: 주요 부동산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노후계획도시 정비사업의 재원조달 실행구조와 정책, 계획, 그리고 재정 연계성 분석
- 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전세사기 예방 및 피해구제를 위한 법·제도적 방안에 대한 연구
- 교육 기회의 공간적 격차와 사회적 이동성: OECD 국가를 중심으로
- 전세보증금 채무불이행 위험의 가치산정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정책학분야 BEST
- 공유경제의 전망과 과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 난민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South Korea’s Strategic Role in Global Health: Promoting Multilateral Cooperation, Health Equality, and Disease Eradication
사회과학 > 정책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