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Financial Structure and Policy, Plan, and Finance Linkages of Urban Renewal in Aging Planned Cities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정책학회
- 저자명
- 박사유(Sau Park) 전재범(Jaebum Jun)
- 간행물 정보
- 『부동산정책연구』제26집 제2호, 50~80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1기 신도시 등 노후계획도시의 정비사업에서 정책-계획-재정의 연계성과 실행구조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Hood의 NATO 모델과 Howlett의 정책도구론을 활용하여, 발표자료와 기본계획(안)에 나타난 재원조달 구조와 실행력의 제도적 조건을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최근 특별법제정과 가이드라인 도입으로 제도적 기반은 강화되었으나, 재원조달 계획의 표준화, PMO(총괄사업관리자)의 실질적 권한 부여, 리스크 분산 구조의 내실화 등에서 여전히 한계가 드러났다. 특히, 공공기여, 미래도시펀드, 보증 등 다양한 재정수단이 정책적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실제 계획 단계에서는 구체적 기준과 실행력 확보가 미흡했다. 이에 본 연구는 ① 전국 단위 재원조달 계획서 표준화 및 정보공개, ② PMO의 예산집행권·토지관리권 명문화, ③ TIF·ABS 등 혁신적 재정수단의 도입, ④ 단계별 책임과 성과관리가 명확한 거버넌스 체계 구축을 제안한다. 이러한 개선방안은 노후계획도시 정비사업의 지속가능성과 실행력을 동시에 높이고, 향후 도시재생 정책의 실질적 모델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financial structure and implementability of urban renewal basic plans for aging planned cities in Korea, with a focus on the linkage between policy, planning, and finance. Using the NATO (Nodality, Authority, Treasure, Organization) model and Howlett’s policy instruments framework, the research analyzes the institutional and practical conditions necessary for successful urban renewal. The analysis traces the evolution of financial policy tools—including public contributions, future city funds, and guarantees—by reviewing key policy documents and basic plans for first-generation new towns. The findings reveal that, although recent legislation and guidelines have improved the institutional framework, significant gaps remain regarding the standardization of financial planning, the legal authority of PMOs(Project Management Offices), and the integration of risk-sharing mechanisms. The study recommends: (1) nationwide standardization of financial planning and disclosure; (2) legal empowerment of PMOs with budgetary and land management authority; (3) adoption of innovative financing tools such as TIF(Tax Increment Financing) and ABS(Asset-Backed Securities); and (4) establishment of a governance matrix with clear accountability and performance management. These measures are expected to enhance both the sustainability and implementability of urban renewal in aging planned cities and provide a model for future urban regeneration polic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및 분석의 틀
Ⅲ. 정책의 흐름 및 재원조달 구조의 분석
Ⅳ. 노후계획도시 제도 및 사례 분석
Ⅴ. 결론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동산정책연구 제26집 제2호 목차
- 저출생 현상의 미시적 공간 분포와 소지역 영향요인 : 전국 읍면동 수준의 다중스케일 지리가중회귀(MGWR) 분석
- 전세수급 결정요인 및 기여도 분석: 임대차 2법 도입에 따른 시장 구조 변화를 중심으로
- 공동주택 단지의 녹색건축인증(G-SEED) 여부가 실거래가에 미치는 영향
- 지역자원 기반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구성요소 및 중요도 분석에 관한 연구
- 케이블TV 부동산정보의 신뢰도: 주요 부동산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노후계획도시 정비사업의 재원조달 실행구조와 정책, 계획, 그리고 재정 연계성 분석
- 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전세사기 예방 및 피해구제를 위한 법·제도적 방안에 대한 연구
- 교육 기회의 공간적 격차와 사회적 이동성: OECD 국가를 중심으로
- 전세보증금 채무불이행 위험의 가치산정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정책학분야 BEST
- 공유경제의 전망과 과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 난민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South Korea’s Strategic Role in Global Health: Promoting Multilateral Cooperation, Health Equality, and Disease Eradication
사회과학 > 정책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