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브랜드 아이덴티티 연구 동향과 향후 방향성 : 2000년부터 2024년 창업 연구 중심으로

이용수  15

영문명
Brand identity research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Focusing on entrepreneurship research from 2000 to 2024
발행기관
한국과학기술실용화학회
저자명
김현우(Hyunwoo Kim) 남정민(Jungmin Nam)
간행물 정보
『과학기술융합연구』제3권 2호, 61~9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복합학 > 과학기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많은 연구자들은 창업기업의 창업역량 강화를 위한 요인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마케팅 역량 강화가 창업역량 강화에 효과성이 높다는 수많은 연구결과에 따라 정부지원, 엑셀러레이팅, 컨설팅 및 멘토링 등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나, 소상공인 창업에서는 효과적인 마케팅을 수행할 자금력이 현저히 부족한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마케팅 비용이 부재한 소상공인 창업자에게 최소한의 아이덴티티 요소를 활용한 브랜드 연상성 방법을 제안하고자, 기술의 발전으로 창업의 형태와 마케팅 환경이 급변한 2000년 부터 현재까지 창업 관련 브랜딩과 아이덴티티 요소 연구 동향을 파악하여 소비자의 구매의도 향상 및 재구매, 재방문 시 브랜드 연상성을 증폭 시킬 수 있는 아이덴티티 요소에 대해 논의하고 브랜딩과 아이덴티티 요소가 브랜드 연상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소상공인 규모의 작은브랜드가 창업성과에서 효과성을 나타나기 위한 방향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선정된 연구 중 소상공인을 위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연구 및 브랜딩 연구가 중소/중견 기업 및 큰브랜드 규모에 비해 12%에 그쳐, 전체 사업장 규모의 86.5% 비중에 달하는 소상공인 수를 고려하면 소상공인 현실을 실질적으로 반영한 브랜딩 및 아이덴티티 요소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

영문 초록

Recently, Many researchers are studying the factors that enhance the entrepreneurial capabilities of startups. Based on numerous studies showing that strengthening marketing capabilities is highly effective in improving entrepreneurial capabilities, various programs such as government support, acceleration, consulting, and mentoring have been provided. However, small business startups often face a significant lack of financial resources to conduct effective marketing.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method for brand association using minimal identity elements for entrepreneurs in small businesses who lack marketing budgets. By examining research trends on branding and identity elements related to startups from 2000 to the present, when the forms of entrepreneurship and marketing environments have rapidly evolved due to technological advances, this paper discusses identity elements that can enhance consumer purchase intent, repurchase, and brand recall during repeat visits. Furthermore, it explores the impact of branding and identity elements on brand association and suggests directions for small brands to demonstrate effectiveness in entrepreneurial performance. Among the selected studies, research on brand identity and branding for small businesses accounts for only 12%, which is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studies o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and large brands. Considering that small businesses make up 86.5% of all businesses, there is an urgent need for research on branding and identity elements that truly reflect the realities of small business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동향 분석
Ⅳ. 자료의 분석 및 평가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현우(Hyunwoo Kim),남정민(Jungmin Nam). (2024).브랜드 아이덴티티 연구 동향과 향후 방향성 : 2000년부터 2024년 창업 연구 중심으로. 과학기술융합연구, 3 (2), 61-90

MLA

김현우(Hyunwoo Kim),남정민(Jungmin Nam). "브랜드 아이덴티티 연구 동향과 향후 방향성 : 2000년부터 2024년 창업 연구 중심으로." 과학기술융합연구, 3.2(2024): 61-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