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to Start a Business Based on Personality Types
- 발행기관
- 한국과학기술실용화학회
- 저자명
- 신나경(Na-Kyung Shin) 김종성(Jong-sung Kim)
- 간행물 정보
- 『과학기술융합연구』제3권 1호, 41~6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과학기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 경제가 위기를 맞이하고 고용 및 실업 등의 사회적인 문제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정부와 교육기관에서는 경제적 및 교육적인 측면에서 창업교육과 기업가정신 교육을 강조하고 있으며, 창업과 기업가정신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교육과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개인이 지닌 성격과 성격유형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정신의 하위요인 중에서 혁신성과 진취성은 창업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은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선행연구는 기업가정신과 성격유형의인과 관계를 밝힌 연구의 수가 적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선행연구의 공백을 채워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 에니어그램 성격 유형 간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라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Korean economy is facing a crisis, and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social issues such as employment and unemployment, the government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emphasiz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fostering an entrepreneurship from both economic and educational perspectives. Various educational and research efforts are being made to promote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However,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while research on individual personality traits and personality types is lac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to start a business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Enneagram personality types in their relationship.
The main research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mong the sub-factors of entrepreneurship, innovativeness and proactivenes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Secondly, Enneagram personality types were found to have no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Previous studies have lacked research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entrepreneurship and personality types. This study fills the gap in previous research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Enneagram personality typ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과학기술학분야 BEST
- Culinary Narratives on the Global Stage: Analyzing K-Food's Cultural Capital through Netflix's 'Black and White Chef
- The Sociocultural Meaning of Zero-Calorie Beverage Consumption: A Qualitative Study on Health Perceptions and Beverage Choices Among Young Adults in South Korea
- Functional Food Potential of Cyclic Dipeptides from Lactobacillus plantarum: Inhibition of Breast Cancer via Cancer Stem Cell Regulation
복합학 > 과학기술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